![]() |
대전시청사. 사진제공은 대전시 |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다. 윤성국 대전관광공사 사장은 2025년 10월 17일이면 3년 임기를 마친다. 김용원 대전관광공사 상임이사도 11월 17일이면 3년을 채운다.
공기업 임원의 경우 일정 조건을 갖추면 '1년 단위로 임기를 연장할 수 있다'는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연장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임원추천위원회에서 공개모집을 결정해 사실상 임기를 마치게 됐다.
8일 대전관광공사는 제1차 임원추천위원회를 열고 임원(사장, 상임이사) 공개모집 계획(안)을 결정했다.
앞서 대전도시공사는 3일 모집 공고를 내고 도시재생본부장(상임이사) 교체에 나섰다. 최경진 대전도시공사 도시재생본부장은 2022년 11월 1일 사업이사로 임명됐다. 3년 임기가 다가온 것.
정국영 대전도시공사 사장 임기는 조금 여유가 있지만, 연내 결정될 전망이다. 정 사장은 2022년 12월 15일에 임명됐다.
연규양 대전교통공사 사장은 10월 4일이 3년째로 조만간 임원추천위원회를 통해 거취가 결정될 예정이다. 유운호 대전교통공사 경영이사는 임기가 2027년 1월 21일로 아직 여유가 있다.
이상태 대전시설관리공단 이사장도 임기가 2026년 7월 31일로 내년 지방선거 이후다.
대전시 산하 공기업 임원 대다수가 이장우 대전시장의 지방선거 공신(선거캠프 활동)들로 구성돼 민선 8기 대전시 정책과 호흡을 맞춰왔다. 이들 임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임원 연장 여부가 조직에 주는 영향은 클 수밖에 없다.
연장을 하면 조직이 안정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일종의 레임덕 현상이 올 수 있다.
반면 새 인물이 들어오면 조직의 활력소가 될 수 있지만, 위험 부담(지방선거)에 따른 구인난을 겪을 수 있고, 환경 적응 시간이 필요하다.
지방선거를 불과 1년여 앞둔 만큼 임원들이 물의를 빚지 않고 연임 요건만 갖춘다면 1년 재신임을 통해 조직의 부담을 줄이는 데 주안점을 두지 않겠냐는 게 대부분의 시각이다.
대전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맞추기로 조례로 제정했다. 이를 통해 기관장들의 임기가 2년으로 바뀌고, 2년을 못 채우더라도 시장의 4년 임기가 끝나면 자동으로 기관장 임기가 종료된다.
이에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특별한 귀책 사유가 없으면 대부분 함께 가는 분위기다. 이 기조가 공기업 임원에게도 적용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반면 줄줄이 연임 인사가 이뤄진다면 성과 평가에 의문도 제기될 수 있어 일부 물갈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시 공기업 임원 임기 만료가 연이어 예정돼 있다"면서 "해당 기관에서 임추위를 꾸려 연임이 가능한 지, 공모 절차를 진행할 지를 결정한다. 인선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