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초진 후 연기는 계속…데이터 유지 위해 소방수 자제

  • 사회/교육
  • 사건/사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초진 후 연기는 계속…데이터 유지 위해 소방수 자제

  • 승인 2025-09-27 09:18
  • 수정 2025-09-27 09:54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5481
27일 오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창문이 전날 발생한 화재 열기로 녹아 있다. 초진을 마친 소방대원과 구급대원들이 상황을 대기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9월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9시간 50분 만에 불길을 잡고 현재는 자연 진화를 기다리고 있다. 전산장비에 물을 뿌릴 수 없어 초진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도 소방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27일 오전 9시 유성구 구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는 대전소방본부가 오전 6시 30분께 초진을 완료하고 대전경찰이 과학수사를 위해 진입을 대기하는 중이다. 현장에는 아직 매스꺼운 연기가 남았고, 간간이 창문으로 연기가 비치고 있어 화재가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여전히 출입이 제한되고 있다.

대전소방본부는 장비 63대와 인원 170명을 동원해 화재를 초진한 데 이어 경찰과 군 당국에서도 나와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밤사이 화재 소식을 들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직원들도 피해 상황 파악과 복구를 위해 회사로 복귀하는 모습이다.

IMG_5473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화재로 현장에 통제되고 있으며, 정부 주요 전산시스템이 가동을 중단했다. (사진=임병안 기자)
현재 큰 불길은 진압이 됐으나 검은 연기인 농연을 빼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화재로 불을 끄던 직원 40대 남성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소방당국은 이곳 5층에 있는 리튬배터리 폭발에서 화재가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데이터 장비가 많아 국가자원 데이터 훼손을 염두에 두고 이산화탄소·할로겐 소화기를 이용해 진압을 시도했다. 그러나 불길이 재점화되자 배터리를 분리해 방수작업을 실시 후 최소한의 물을 이용해 진압해 진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화재로 내부에 쌓여있던 192개 리튬이온배터리 팩은 이미 연소된 상태다. 한편 이번 화재로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이 마비됐다.

대전소방본부는 오전 10시 유성소방서장 주재로 화재 발생과 진화 과정에 대한 브리핑을 실시할 예정이다.
임병안·이승찬 수습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팬덤이란 이런 것이다! 팬덤의 진수를 보여준 영웅시대(영상:현장음 무편집)
  2. 전통시장 절반은 ‘농할상품권’ 불가한데, 가맹점은 수도권 편중
  3. 우송정보대 유아교육과, 지역 유치원 협력 방안 간담회 개최
  4. 백석문화대, 충남 RISE사업 기반 지역사회 기관들과 상호협력 협약 체결
  5. JB주식회사, 제8회 청소년 가스안전캠프 개최, 생활 속 안전의식 강화
  1. 신임 대전경찰청장에 최주원, 충남 임정주, 충북 이종원 임명
  2. 남서울대, '동문 선배와 스펙 췍' 행사 성료...취업 지원 프로그램 성과 빛나
  3. 천안시, '움직이는 관광안내소' 맞춤형 관광정보 제공
  4. 천안시, 일본 이바라키현 관광 관계자 초청 팸투어 운영
  5. 인화 물질 들고 고용노동부 난입...50대 검거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대전은 과거 '노잼도시'이미지를 탈출하고 '잼잼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히 과학도시, 교통의 중심지, 그리고 정부 청사가 있는 행정도시로만 인식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 대전은 필수 방문지로 탈바꿈했다. 노잼'은 부정어 'No'와 '재미'의 합성어다. '노잼도시'는 말 그대로 재미없는 도시를 말한다. 민선 8기 대전시는 0시 축제를 비롯해 성심당의 인기로 인한 빵의 도시 이미지,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였던 꿈돌이를 재해석한 꿈씨패밀리 브랜드화 등의 정책을 폈다. 효과는 고무적이었다. 대전은 '성심당'이라는 강력한 킬러콘텐츠를 갖고..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전국적으로 학교 석면 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전의 제거 완료 학교 비율이 전국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전국 유일하게 100% 제거 완료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2개 학교 건물 내 석면이 철거되지 않았다. 충청권은 대전 71·충남 170·충북 102개 학교가 앞으로 석면 제거가 필요하다. 석면 제거 완료 전국 평균은 87.2%로, 대전은 78%에 그친다. 대상 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현재까지 1274개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했지만 여전히 451곳..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