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진시 송악읍 고대1리 '대한전선 제2공장' 인근 주민들이 환경오염을 우려하며 공장 증설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현수막을 내 걸었다.(사진=박승군 기자) |
대한전선 해저케이블 제2공장 착공과 관련해 당진시 송악읍 고대1리 주민들이 비산 먼지 등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강력 제기되고 있다.
대한전선은 9월 25일 고대지구 해저케이블 제2공장 착공식을 진행했고 이후 토목공사 및 중장비, 덤프트럭의 작업을 진행할 경우 비산 먼지 및 소음발생·매연 등을 인근 주민들은 우려하고 있다.
특히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 먼지와 건설기계 매연 등은 주변 대기 질을 심각하게 악화시키는 주요 환경오염 요인이다.
공사현장 비산 먼지 발생 원인은 흙·모래·시멘트 등 건설자재의 이동과 굴착 과정에서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며 중장비·레미콘 차량·바람 등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장관리 미흡과 안전조치 부족 등으로 먼지 확산이 제대로 통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보니 벌써부터 논란이 일고 있다.
인근 주민 C씨는 "대한전선이 제2공장을 증설 할 때 비산 먼지 저감 대책을 세우고 주민 설명회 등으로 주민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공사장 내 대형 중장비와 덤프트럭 등 차량운행 제한속도(시속 20km) 준수·방진벽 설치·방진덮개 설치·세륜 세차시설 운영·덤프트럭 덮개 설치 등을 꼭 이행해 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제2공장 인허가와 관련해 해당 부서에서 착공신고를 하면서 비산 먼지 신고도 다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진시 관계자는 "대한전선 제2공장과 건설과 관련해 비산 먼지 신고는 다 했고 중장비 등에서 발생하는 매연은 정해진 규제기준이 없다"며 "현장 위치가 산업단지라서 비산 먼지 신고만 하면 다른 것은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비산 먼지는 신고를 하면 그 외에 특정하는 것이 없고 작업할 때 조치를 했느냐 안했느냐만 보는 것이라 실제 먼지가 나는 것과는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대한전선을 인수한 호반그룹은 해저케이블 제2공장 착공을 앞둔 9월 3일 당진상공회의소 5층 대회의실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매상담회를 개최했으나 이를 두고도 뒷말이 무성하다.
구매상담회는 지역 협력업체의 참여 기회를 넓히고 지역과 상생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했으며 당진상의 회원사·지역 건설사·자재 및 장비업체 등 60여 개 기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반그룹 관계자는 "상담회를 통해 당진상의 회원사를 포함한 당진시 소재 기업과 협력해 지역 기업들의 성장 기회를 확대하고 당진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한건설협회 당진건설상생협력단 관계자는 "대한전선 제2공장 증설과 관련해 건설이 주축이 되고 종합건설사가 공사에 참여하는 구조인데 호반그룹이 상생을 위한 구매상담회를 협력단을 배제하고 상공회의소와 진행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또 "지역에서는 하도나 협력체계가 이뤄지는데 원청이나 시공사가 외지업체를 끌어들여 밀어주면 당진의 지역경제 활성화나 상생협력은 공허만 메아리가 될 뿐"이라며 "이런 부분을 시 공무원들이 간과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속마음을 털어놨다.
한편, 과거 다른 대규모 공사의 예로 볼 때 공사 단가나 자재 값이 비싸다는 구실로 지역 업체를 배제 시키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이번에는 약속을 지키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