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건수 및 금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2023년 피해금액은 119억원, 2024년 270억원, 2025년(6월) 196억원으로 증가세다. 피해 건수 역시 2023년 980건, 2024년 1135건, 2025년(6월) 893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같은 기간 피해 금액이 가장 큰 지점은 부산지부 전포 1동점(약 15억원), 서울지부 동대문동부점(약 12억원), 광주·전남지부 중흥점(약 1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
피해 건수는 대전·세종·충남지부 탄동점(36건), 대전·세종·충남지부 유성점(31건), 서울지부 동대문동부점 (29 건) 순으로 많았다 .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기관은 읍·면 단위에 위치한 지점이 많아 지방에 거주하는 고령층 이용률이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금융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것인데 이에 걸맞은 시스템 구축이나 인력 배치는 미흡하다는 것이 박 의원 생각이다.
박정현 의원은 "최근 들어 성행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 규모가 매년 수천억원에 이르고 있다"며 "피해자 연령층 대다수가 20대와 60대이상 금융 취약계층인만큼 서민금융을 뒷받침하는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기관들이 앞장서서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을 위한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