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약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격차를 해소하고, 누구나 기술의 혜택을 공유하는 지속 가능한 디지털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경북도의 첫 걸음이다.
이날 도는 새마을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마을 AI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저개발국가에 디지털 역량·윤리 교육 플랫폼을 적용해 AI시대 국가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해당 플랫폼을 국제 표준으로 인증시키는 것까지 포함한다.
70년대 시작한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의 3대 정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향하는 디딤돌인 산업화 기틀을 닦은 국가적 운동이었다. 이후 새마을운동은 2000년대 들어 국가 간 소득격차를 해소할 목적으로 ODA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확산되기 시작했다.
도는 AI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국가 간 생산성 격차 확대에 주목하고, 산업화 시대의 국가성장 수단인 기존 새마을운동만으로는 AI시대에 선진국·후진국간 소득격차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즉, 저개발국가를 대상으로 'AI시대 디지털교육'을 확대, 세계 누구나 기본 AI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육·인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기술 경험이 부족한 저개발국 출신 외국인에게 디지털 역량·윤리교육을 시범 실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또한 교육 결과를 분석해, 국내 취업 등에 활용하는 초기 플랫폼 개발가능성까지 검토한다.
도는 향후 UNESCO·UNDP·IEEE 등 국제기구와 연계해 글로벌 디지털 역량 표준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지방정부 차원에서 국제표준 지정시키기 위해 DQ연구소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국제기구 산하 기구 설립과 유치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업화 시대에는 자본과 인구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했지만 AI 시대에는 디지털 역량과 윤리가 지역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APEC 개최로 경주가 국제적 아젠다의 중심에 서는 기회를 잘 활용해 글로벌 디지털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 고 밝혔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권명오 기자
![[갤럽] 충청권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51%, 국민의힘 29%`](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4d/118_2025102401001590600069521.jpg)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4d/118_20251023010014703000640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