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식품부 전경 /중도일보 DB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이하 농식품부)는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재료의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안정적 공급 대책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이 주재한 김장 주요 재료 수급상황 확대 점검회의에서는 김장에 사용되는 농수산물의 수급 전망과 대응계획, 기관별 대책 등이 논의됐다.
배추와 무는 가을철 잦은 비로 인한 병충해 발생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 증가와 대량수요처의 충분한 재고로 김장철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배추는 1만 3403㏊, 무는 4643㏊로 전년 대비 각 2.5%, 7.4% 증가했다. 다만, 기상 여건에 따른 일시적 공급 불균형에 대비해 정부는 비축물량을 확보해 안정적 공급을 유지할 계획이다.
고춧가루, 마늘, 양파 등 양념채소는 대체로 원활한 공급이 예상되지만, 마늘의 산지가격 상승과 쪽파의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마늘 비축물량을 시장에 확대 공급하고, 쪽파는 생육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배는 지난해 생산량 보다 13.4% 증가한 20만 3000t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가격도 전년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김장철에는 계약재배 물량 공급을 확대해 안정적 공급을 지속할 계획이다.
수산물 중 천일염, 새우젓, 멸치액젓 등은 공급 여력이 충분하지만, 멸치 생산 감소로 멸치액젓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대한민국 수산대전'을 통해 김장재료로 사용되는 수산물을 저렴하게 공급하고, 멸치액젓은 다른 품목으로 대체 소비를 유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김장재료의 공급확대와 할인 지원 등 소비자 부담 완화 방안을 포함한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11월 초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김종구 실장은 "가을철 잦은 비로 인해 농작물에 병해충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방제약제를 공급하는 등 생육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품목별로 수급상황 변동 등 비상 상황 발생에 대비해 가용할 수 있는 수단을 미리 마련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