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석환 대표 |
정년이 60세로 정해지며, 민간 기업의 직책자에게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첫째, 58세 전후로 보직 해임하고 남은 기간 메뉴얼 작성, 사내 강의, 진단과 컨설팅, 상담 등의 업무를 수행하다 60세 퇴직한다. 직책자의 영향력을 고려해 임기를 앞두고 도덕적 해이 등의 방지 목적도 있다. 둘째, 60세 정년까지 직책을 수행하다 정년을 맞기 전 1달 전 새 직책자에게 인수인계를 하고 퇴직하는 경우다. 팀장과 임원 후보자 제도를 운영해 1년 동안 이들에게 과제를 부여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심사해 선발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60세 정년을 뛰어 넘어 1년 또는 2년 단위로 근무를 이어가는 경우다. 팀장이나 임원으로서 역량과 업적이 뛰어나기 때문에, 굳이 정년 60세에 퇴직하게 할 이유가 없다. 역량과 성과가 뛰어나다면 믿고 맡기는 것이다. 다만, 계약 기간을 설정해 심사와 만일의 대비를 하는 것이다.
정년 또는 임기 종료를 앞둔 리더에게 무슨 제언을 하겠는가? 가장 먼저, 초심으로 돌아가 처음과 끝이 항상 같아야 한다. 꿈과 열정으로 하루를 이끌며 부끄럽지 않아야 한다. 마무리는 후임자가 감동하도록 깔끔하며 멋져야 한다. 후공정을 고려하듯이 후임자가 일을 편하고 성과 있게 하도록 길을 닦아 놓아야 한다. 직책자가 되었을 때 보다, 나갈 때 더 멋진 사람이 돼야 한다. 직책자로 있으면서 자신의 목표, 각오, 중요한 일 등의 기록을 남겨야 한다. 떠난 후의 인생 설계를 있을 때 해야 한다. 대부분 직책자는 일에 몰입돼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하지 못한다. 퇴직 후 어떻게 삶을 살 것인가 구체적 목표와 수준, 실행 계획을 세워야 한다.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