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수미 문지유치원 교사 |
매년 추석을 앞두고 유치원에서는 유아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송편을 직접 만들어 보기도 하고, 고운 한복을 차려입고 등원해 명절의 의미를 함께 나누기도 한다. 그중 아이들이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순간은 단연 '전통 놀이 체험 시간'이다. 이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 옛 놀이가 가진 독특한 매력 덕분일 것이다. 전통 놀이에는 신명 나는 소리와 함께하는 즐거움 그리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스며 있다. 익살스러운 탈을 쓰고 추는 탈춤에는 어깨를 들썩이게 하는 흥이 있고, 윷가락을 던지고 제기를 차는 순간에는 웃음이 흘러넘친다. 둥근 달빛 아래 어우러져 부르는 강강술래에는 자연의 정취와 조화를 즐기던 조상들의 멋과 지혜가 담겨 있다.
옛날에도 그랬겠지만 요즘 아이들에게도 이것들은 충분히 매력적이고 즐거운 놀이임에 틀림이 없다. 이러한 즐거움과 가치를 아이들과 부모에게도 전하고 싶다는 마음에서, 우리 유치원은 '학부모 참여 전통놀이 한마당'을 기획했다. 전통은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세대를 잇는 가교이자 오늘날에도 새롭게 체험되고 나눌 수 있는 문화적 자산임을 직접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
![]() |
![]() |
우리 유치원에는 인도, 콩고, 중국 등 타국에서 온 외국인 가정이 있다. 한국의 전통 놀이를 경험할 때 이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했고, 전통문화 체험이 외국인 가정에게 의미있고 값진 시간이 될 거라는 확신도 들었다. "원더풀!" 콩고인 아빠가 참여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는 길에 건넨 인사였다. 우리 문화와 놀이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를 지니고 돌아가는 모습을 보며 한국 문화를 알렸다는 애국심과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샘솟았다.
이번 부모 참여 전통 놀이 한마당은 참여한 모두에게 우리 문화와 놀이 속에 은은하게 자리한 멋과 지혜를 느끼게 했다. 부모들은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었고, 가족이 함께하며 세대 간의 공감과 유대를 다질 수 있었다. 미디어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내던 유아들은 온몸으로 놀이에 참여하며 신체 발달을 이루고, 전통 놀이에 녹아있는 질서와 협력을 배우는 의미있는 경험을 했다. 이 경험을 씨앗으로 전통의 뿌리 위에 지혜의 꽃을 피우고, 우리 문화의 가치와 기치를 이어가는 우리 아이들이 되길 소망한다. 이수미 문지유치원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