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주 활옥동굴. |
이들은 "활옥동굴은 지역경제의 중요한 축"이라며 "행정이 지역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일방적인 절차를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과 상인들은 28일 공식 성명서를 발표하고 "활옥동굴은 충주를 대표하는 관광자원이자 지역경제의 핵심 기반"이라며 "일부 행정 절차상의 문제로 폐쇄가 결정된다면 인근 상권과 주민 생계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활옥동굴 폐쇄만이 답이 될 수는 없다"며, 행정이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의 큰 틀 속에서 상생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명서에는 ▲활옥동굴의 법적·제도적 안정 운영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와 지원 ▲상인 및 주민 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상생협의체 구성 ▲충주시와 산림청의 지역경제 영향 검토 및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수립 등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담겼다.
안림동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주민은 "활옥동굴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지역의 역사와 생계, 그리고 충주의 미래가 담긴 자산"이라며 "행정과 시민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활옥동굴은 2019년 개장 이후 연간 50만 명이 방문하는 충주의 대표 관광지로, 동굴체험·전시·문화행사 등이 결합된 복합형 관광지로 운영돼 왔다.
하지만 최근 관람 구간 일부가 국유림에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충주국유림관리소와의 사용허가 절차, 법제화 미비, 안전진단 이행 등 행정적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충주시의회 손상현 의원은 같은 날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활옥동굴의 불법 개발 문제를 바로잡고 합법화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며 "충주시와 산림청,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광해광업공단, 운영업체가 함께 협의추진단을 구성해 공익형 관광자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는 활옥동굴 문제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충주의 관광산업과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할 주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홍주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