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종중앙공원에 추진되는 파크골프장 위치(붉은색 원). /세종시 제공 |
지역 시민단체는 6일 "특정인을 위한 전용시설 전환은 공원의 본래 의미를 훼손한다"며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 전면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세종시설관리공단은 중앙공원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 중앙공원 중심 파빌리온 구역에 36홀 규모의 파크골프장 조성을 구상 중이다. 공원 부지를 활용해 시민들의 여가활동 참여를 돕는다는 취지다.
하지만 중앙공원 외곽에 조성된 9홀과 거리가 있는 공원 한복판에 36홀이 따로 조성되면서 이용객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파크골프장 이용객과 공원 방문객이 뒤섞여 혼란을 빚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새로 조성될 파크골프장을 중심으로 양측 공원 공간이 단절될 수 있다는 우려도 더해진다.
공단 측은 기존 건축물을 활용해 36홀을 잘 배치한다면 시민들이 공원을 이용하는 데 큰 불편함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지만, 앞으로 조성 추진 과정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잦아들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선 이미 조성된 '9홀' 외곽 부지에 '36홀'을 추가 건립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기존 시설에 추가 보완하는 방식으로 접근성을 높이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이런 가운데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는 성명을 통해 시에 중앙공원 내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 전면 철회를 촉구했다. 시민 누구나 이용하도록 조성된 녹지공간을 특정인을 위한 전용시설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회의적 시선을 분명히 드러냈다.
이들은 "세종중앙공원은 세종시민의 쉼터이며, 모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 공간으로, 이미 조성된 공원 한복판을 특정 동호인의 운동시설로 바꾸는 것은 공원의 개방성과 접근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특히, 파크골프장은 경기 중 이동과 안전을 이유로 일반 시민의 통행이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당연하게 공원의 단절과 이용자 간 갈등을 불러올 것이 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파크골프장 운영 과정에서의 '환경적 피해'를 우려하며, 인공 조경과 관리가 필요한 파크골프장이 잔디 관리 과정에서 농약·비료 사용, 조명·소음 등 생태적 교란 요소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연대는 "한 번 특정 시설로 전환된 공원을 다시 시민 품으로 돌리는 일은 쉽지 않다. 세종시는 시민들의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고, 공원의 본래 취지와 도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우선해야 한다"며 "파크골프장 조성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세종시 파크골프장은 ▲금강 수변(2024년, 36홀) ▲아름동 오가낭뜰공원(2016년, 9홀) ▲가람동 부엉뜰공원(2016년, 9홀) ▲부강생활체육공원 마레트(2017년, 14홀) ▲조치원 조천변(2019년, 9홀) ▲중앙공원 1단계(2020년, 9홀) 등 동지역 4개, 읍면지역 2개로 요약된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은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