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립생태원이 지역 예술인과 협업해 자연소재로 만든 둥지쉼터 |
국립생태원(원장 이창석)이 충남지역 예술인과 협업해 AI 생태해설 시스템과 자연 소재를 활용한 둥지 쉼터를 한반도숲에 설치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후원하고 충남문화관광재단이 주최하는 2025 충남예술인파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리더 이안을 중심으로 음악, 시각예술 등 5명의 예술인이 6월부터 참여해 자연을 관찰하고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며 이를 예술적 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독창적인 결과물을 완성했다.
예술팀은 예술이 생태를 새롭게 느끼게 하는 통로가 되자는 취지 아래 진짜 자연을 경험하는 10가지 방법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우수 아이디어로 선정된 AI 생태해설 사운드 시스템과 동선유도 풍경 조형물, 둥지 쉼터가 실제로 구현됐다.
한반도숲길 주요 출입구 12곳에는 은방울꽃을 형상화한 조형물이 설치됐다.
관람객은 조형물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AI 기반 음성 해설과 배경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각 지점의 생태 정보를 소리로 전달받으며 숲을 체험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력 소모와 소음 발생을 최소화해 탄소중립과 환경보호에 부합하며 관람객의 능동적 참여률 유도하는 ESG형 기술이다.
자연 소재로 만든 둥지 쉼터 5개소도 새롭게 조성됐다.
새의 보금자리를 형상화한 이 쉼터는 관람객이 직접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으로 활용된다.
단순한 조형물을 넘어 자연 소재와 예술적 해석을 결합해 방문객이 숲의 생명력을 직접 체감하도록 했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사업을 통해 AI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참여형 생태전시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한반도숲 외에도 에코리움 주변, 주요 전시 구역으로 콘텐츠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예술과 기술이 만나 자연을 새롭게 해석하는 시도"라며 "앞으로도 지역 예술인과의 협업을 통해 국민이 자연과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서천=나재호 기자 nakij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나재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