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 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토론회에 참여한 최교진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국회의원, 전국 대학 총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
행사는 국회 교육위원장 김영호 의원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홍원화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양오봉 대교협회장, 김영도 전문대교협회장, 전국 각 대학 총장,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최교진 장관은 인사말에서 "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대학은 지역 인재를 길러내고 일자리 창출과 산업 발전을 이끄는 핵심 축"이라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앞서 9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을 발표하며 5극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연계한 지·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거점국립대 역할 강화, 라이즈를 통한 지역대 특성화 지원 등 구조 개편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최 장관은 그동안 단기 사업단 중심으로 설계된 산학협력 구조가 지속성과 누적 성과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었다며 정부 재정사업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는 '대학·기업 지속 협력체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MIT 켄달 스퀘어, 아리조나주립대 이노베이션 존, 일본 도쿄대·도요타 협력 모델을 예로 들며 특성화 연구대학 중심의 산학일체 생태계를 국내에서도 확장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라이즈 체계를 통해 대학·기업·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5극3특 산학혁신벨트'를 구축하고 권역별 공동연구소·공유캠퍼스를 통해 지역대 동반성장을 지원할 계획도 덧붙였다.
토론회에서는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원장이 AI 시대에 적합한 산학일체 교육·연구 모델과 국내외 협력 사례를 주제발표 하고, 김송년 지방시대위원회 5극3특 특위 위원은 지역 성장엔진 산업과 대학 협력사례 확산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홍창남 부산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했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무처장, 양성환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제조본부장, 최돈웅 파마리서치 연구소장, 박재민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부회장 등이 참여했다.
교육부는 이날 제시된 의견과 정책 제안을 검토해 12월 중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최교진 장관은 "정부가 산학일체 전략의 설계자가 되어 지역과 산업 현장을 연결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 생태계를 만들겠다"며 "대학·지역·산업이 함께 나아가는 발걸음이 가속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고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