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도청 전경. |
19일 도에 따르면 이번에 수립한 '충남형 미래 산림 전략(2026-2045)'은 기후위기와 산림 노령화, 노인인구 증가와 산촌소멸, 인공지능(AI) 등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했다.
미래산림전략에는 ▲기후위기 대응 산림 탄소숲 ▲소득을 키우는 산림 ▲휴식을 품은 산림 ▲사계절 안전한 산림 등 4대 전략 27개 세부 과제를 담았다.
전략별 추진 과제를 살펴보면 먼저, 기후위기 대응 산림 탄소숲 실현을 위해 '가치있는 경제림 조성'과 '산림 탄소흡수능력 증대'를 중요 과제로 내놨다.
도내 산림은 현재 저부가가치 수종이 48%를 점유하고 있는데, 편백, 삼나무, 상수리, 백합 등 고부가가치 수종 집중 조림(고부가가치 수종 82% 전환)으로 산주의 소득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림 탄소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탄소흡수력이 높고(상수리 등), 기후변화 대응(밀원수 등) 가능한 수종을 심어 산림탄소흡수량을 2045년까지 현재 109.5만톤보다 38% 증가한 151.4만톤(개선)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세부 과제로는 대한민국 대표 경제림 조성, 다목적 기능 임도시설 확충, 해외산림협력 추진, 산림탄소흡수능력 강화 등을 추진한다.
소득을 키우는 산림 분야는 알밤을 케이(K)-대표 임산물로 육성하고, 임산물 스마트팜 조성 등을 통해 임가소득을 현재 보다 60% 높은 6000만원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세부 과제는 목재산업 육성, 충남 대표 케이(K)-임산물 육성, 임산물 스마트팜 육성, 국제밤산업박람회 성공적 개최, 국립밤연구센터 유치이다.
휴식을 품은 산림 분야는 앞으로 고령사회를 대비해 산림치유에 의료기능을 융합하고, 산림자원연구소를 목조건축물로 조성해 목재랜드마크를 조성한다.
세부 과제는 보건·의료 연계한 산림치유 활성화, 산림레포츠 산업 육성, 국립예산 산림치유원 유치, 안면도 충남 정원산업 허브(Hub) 조성, 충남형 산림자원연구소 조성 등이다.
사계절 안전한 산림 분야는 스마트기술 활용한 산불예방·진화, 과학적 산사태 예방 및 대응력 고도화, 국립 서해안 산불방지센터 유치, 산림재난센터 설치로 통합적 재난관리를 세부 과제로 추진한다.
도는 2026년 농림위성발사와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등 스마트 사회로의 전환에 발맞춰 산림재난도 과학과 첨단기술을 활용해 피해를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충남형 미래 산림 전략 추진 기간은 2045년까지이며 총 예산은 5조 7689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박정주 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20년 미래산림 전략 수립을 통해 충남 산림이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산림자원으로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수립한 계획을 차근 차근 실행해 '산림으로 잘사는 충남' 비전을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내포=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