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도의회 교육위가 19일 도교육청 소관부서를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사진=오현민 기자 |
도의회 교육위는 19일 교육위 회의실에서 도교육청 소관부서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먼저 유성재(천안5·국민의힘)위원은 "혁신학교 운영을 통한 성적향상, 생활지도교사의 전문성 향상, 민주적 의사결정 측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기술해 줄 것을 2025년 행정사무감사 요구자료로 요청했다"며 포문을 열었다.
그는 "2021년도부터 2023년까지 혁신학교에 대한 종합 분석 연구 결과, 학교 혁신성이 초중학생 역량 성장에 긍정적 기여했다는 답변만을 받았다"며 "이는 교과 성적 향상과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하고 학력 평가 측정이 어렵다고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남도현 도교육청 기획국장은 "혁신학교는 수업 질적인 측면에서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며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인 질문과 토론 과정에서 전반적인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성적을 객관적으로 확인하지는 않았다"고 답변했다.
유 위원은 "현재 교육청이 실시하는 학생들과 학부모 설문은 정성적인 평가고,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미비한 평가 시스템에 대한 제고를 주문했다.
이상근(홍성1·국민의힘) 위원장은 "혁신학교를 통한 학생 성적향상에 대해 많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은데, 기획국장님의 답변을 들어보면 전인적 교육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 같다"며 "교육의 가치가 성적이 우선은 아니지만 학부모들이 바라는 목표를 저버릴 수는 없다. 학업 성취를 올릴 수 있는 혁신학교 모델도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충남 내 특수학급 교사 결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에도 보결강사 투입률이 매우 낮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지윤(비례·더불어민주당) 위원은 "특수학급 결원 시 보결강사나 기간제 교사 투입률 측면에서 천안·아산의 경우는 좀 나은 편이긴 한데, 공주는 20%, 보령은 34%, 서산과 서천은 0%, 태안 12%, 부여 25%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이에 송명숙 도교육청 교원인사과장은 "특수학급 보결강사 인력이 여유치 않기 때문에 강사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이 위원은 대전, 세종, 충북 모두 특수학급 보결강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충남만 해당 제도를 도입을 하지 않고 있다며 적극 검토를 요구했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오현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