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가양초는 '다(多)돋움 프로그램'으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적극 지원한다. 사진은 프로그램 진행 모습. (사진=대전가양초 제공) |
대전가양초등학교(이하 대전가양초)는 대전 동부 다문화 교육 연구학교 사업을 통해 2개의 협력 학교(대전대화초등학교, 대전흥룡초등학교)와 하나의 다문화 교육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다(多)돋움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력 제고'를 주제로 지난해부터 다문화 교육 연구를 진행했다.
'다(多)돋움 프로그램'이란 이주배경학생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하고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구안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다. '마음 돋움, 실력 돋움, 강점 돋움'의 3가지 세부 영역으로 구성했다. 각 학교에서는 프로그램에 맞는 다양한 교육 활동을 마련해 다문화 교육 연구를 진행한다. <편집자 주>
![]() |
| 대전가양초는 '다(多)돋움 프로그램'으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적극 지원한다.사진은 프로그램 진행 모습. (사진=대전가양초 제공) |
여기에 이주·비이주배경학생 전체의 다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도 연다. 아침방송 다문화 교육, 교내 다문화 교육 집중 주간, 교육 복지 사업과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체험학습 운영 등 여러 교육 활동을 진행한다.
![]() |
| 대전가양초는 '다(多)돋움 프로그램'으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적극 지원한다.사진은 프로그램 진행 모습. (사진=대전가양초 제공) |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모두의 한국어 시스템'을 통해 한국어 능력 검사를 진행한다. 면담과 관찰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파악하고 관리한다. 한국어 학급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춘 수준별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학급 내 '또래 도우미' 제도도 만들었다. 또래 친구들과 학교 생활을 함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여기에 교내 독서동아리와 연계해 이주배경학생들의 독서 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학생들의 기초 학습 부진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학력 신장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학생 개인에 대한 진단 평가를 하고 '두드림 학교'와 '한무릎 공부방'과 연계해 지도교사가 방과 후 이주배경학생에 대한 개별 맞춤형 교과 교육을 진행한다.
또 클러스터 내 협의를 통해 이주배경학생들을 위한 다(多)돋움 프로젝트 교수학습 교육 자료를 개발했다. 전 교과 내용을 분석해 다돋움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학년별 12개 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계획했다.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를 개발해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것이다.
![]() |
| 대전가양초는 '다(多)돋움 프로그램'으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적극 지원한다.사진은 프로그램 진행 모습. (사진=대전가양초 제공) |
이주배경학생들의 이주 배경 강점을 활용하기 위한 이중 언어 활용 프로그램도 이뤄진다. 방과 후 이중언어 교실을 통해 부모의 모국어를 학습하고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를 진행해 강점을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중언어 외에도 교내·외에서의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해 과학, 예술, 체육 분야 등의 강점 개발 활동도 진행한다. 한국어 학급 진로 체험학습, 진로 체험의 날 등의 진로체험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대전가양초 다문화 교육 연구학교는 이주배경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개개인에 관심을 가지고 학생에 맞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구안하고 있다.
대전가양초 관계자는 "이주배경학생의 성장 내용을 지속적,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의 학생 성장 관리 카드를 개발하고 정서·심리적 상황, 강점과 진로 등을 기록 중"이라며 "이런 다문화 교육 연구 과정과 결과는 일선 학교에서의 다문화 교육 우수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20d/선거이미지1.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