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에 따르면 산불 발생 일수는 1990년대 104일에서 2020년대 200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최근 20년간 산불 발생 추이를 보면 발생 건수와 피해면적이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10년간(2015~2024년) 국내서 100ha 이상의 대형산불은 32건 발생해 3만5357ha의 산림이 소실됐다. 2017년 이후 매년 2건 이상의 대형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11월에 대형 산불 가능성이 적다고 하나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올해 3월 영남권을 중심으로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은 국가 차원의 비상사태로 이어지는 등 최악의 대형 재난으로 기록됐다. 피해 면적만 10만3876ha에 달하는 산불로 인해 총 31명이 사망하고, 5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산불 인명피해 통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최대 수준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8000채 이상의 시설이 소실되거나 파손되는 등 피해액은 약 1조818억원에 이르렀다.
산림청은 입산객 실화 등 우발적인 요인에 기후변화 영향이 커지면서 산불 규모와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원인이 밝혀진 산불 대부분은 입산자 실화·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에서 발생했다. 2002년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청양군은 올해 1건도 발생하지 않는 등 산불을 크게 줄였다고 한다. 산불을 막기 위한 비법은 따로 없다.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부주의로 인한 산불 발생을 차단하는 등 예방에 동참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