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 대덕구 대전북부주민건강센터. (사진= 대전 대덕구) |
25일 대덕구에 따르면 인공지능·디지털 기술 혁신 통해 주민 '건강·편의·안전' 3박자를 완성하는 데 집중했다.
▲AI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어린이 건강체험관 ▲디지털 지방세 고지 ▲전자문서 기반 'OK!대덕앱'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계화 ▲아동보호구역 확대 ▲친환경 도로관리 시스템 구축 등 건강·행정·안전 분야 전반에서 균형 있게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먼저 대덕구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했다.
앞서 2024년 7월 대전북부주민건강센터에 대전시 최초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을 열고 지역 인구구조 변화와와 만성질환 증가에 대응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같은 해 대덕구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기존 대면 중심 건강관리 방식만으로는 지속 관리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은 인공지능 기반 건강측정 장비로 혈압, 혈당, 체성분 등 주요 데이터를 스스로 측정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모바일 앱으로 실시간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AI 스마트 청진기를 활용한 만성질환 합병증 조기 발견, 스마트 혈당계 대여 등 '예방-발견-관리'로 이어지는 통합 건강관리 모델도 구축해 이용자 만족도는 100%에 달한다.
이어 중부권 최초로 '스마트 어린이 건강체험관'을 개관해 어린이 건강 증진 환경을 만들었다.
이 체험관은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터랙티브(양방향, Interactive) 실감 기술을 등을 활용해 아이들이 직접 움직이며 신체활동과 건강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됐다.
올해에만 스마트 어린이 건강체험관과 어린이 건강 키움 놀이터 프로그램은 총 540여 회 운영됐으며, 누적 9000명 이상이 이용해 지역 보건교육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다.
이 외에도 스마트 행정 서비스로 디지털 민원 편의를 강화하고,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자 안전관리 혁신에도 힘썼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주민의 생명을 지키는 안전 정책과 일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스마트 행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대덕구는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 정책을 지속적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해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