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교통대학교 정문. |
이번 합의는 통합 논의 과정에서 남아 있던 주요 쟁점들이 사실상 정리된 것으로 평가되며, 양 대학의 통합 절차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양 대학은 이번 협의를 통해 향후 통합 절차를 공동 추진한다는 큰 틀의 방향성을 재확인했다.
특히 학사와 행정 체계 통합을 포함한 핵심 구조에 대한 실무 조율을 마무리하면서 최종 통합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진행하기 위한 기본 요건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양 대학 관계자들은 "이번 합의는 단순한 절충이 아니라 양 대학이 공동의 미래를 설계하는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통합 논의가 형식적 단계를 넘어 실질적 이행 단계로 전환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합의는 정부가 추진 중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프로젝트와도 맞물려 주목된다.
두 대학이 통합에 성공할 경우, 자원과 교육·연구 역량이 결합돼 지역 산업 특화 교육모델 구축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양 대학은 통합심의위원회 종료 후 교직원과 학생 등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명회를 마련하고, 구성원 투표와 대학평의원회 심의 등을 거쳐 최종 통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양 대학은 절차를 투명하게 운영하면서 구성원과 지속적으로 소통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최종 심의를 앞두고 극적으로 합의가 이뤄지면서 지역사회와 산업계에서도 통합 논의의 탄력적인 진행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홍주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