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樂-건축] 피렌체(2) 르네상스의 걸작 피렌체 두오모 돔…그리고 부르넬레스키

  • 문화
  • 도시락(樂)

[도시樂-건축] 피렌체(2) 르네상스의 걸작 피렌체 두오모 돔…그리고 부르넬레스키

  • 승인 2017-06-09 16:40
  • 연선우 기자연선우 기자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의 돔을 만든 '필리포 부르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의 돔을 만든 '필리포 부르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피렌체 두오모) 건물 옆에 한 남자의 시선이 성당의 지붕을 향해 있다.

이 남자의 정체, 혹시 눈치 챘을까. 돔을 바라보고 있는 남자는 필리포 부르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1377~1446)로 바로 둥근 원형의 돔을 설계한 건축가다.

이제 그의 시점에서 그가 설계한 돔을 한번 올려다보자.



‘아름답다’ ‘거대하다’…

그리고 이어 떠오르는 질문,

“어떻게 만들었을까”


#돔의 지붕을 덮는자, 누구인가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은 ‘꽃다운 성모마리아 대성당’이란 뜻으로 1296년 아르놀포 디 캄비오의 설계로 착공됐다. 이후 1420년대 돔을 덮을 단계가 왔을때는 지름이 너무나 커 아무도 손을 쓸 수 없었다.

‘성당은 완성됐는데 어떻게 돔을 올릴 것인가’ 천재들의 도시 피렌체였지만 지름 42m의 팔각형의 돔을 완성하는데는 쉽지않은 도전이었다. 반세기 이상 돔은 지붕없이 뻥 뚫린 상태로 버텨야 했다.

이때 해결책을 낸 사람이 로마에서 고대 건축을 공부하고 온 ‘부르넬레스키’였다. 그는 피렌체에 돔 안쪽에 또하나의 내부 돔을 만들어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계획안을 내놓는다.

“결국엔 무게를 견딜 수 없을거야~”

무려 400만장의 벽돌을 지지대 하나없이 쌓아 올린 그의 돔에 라이벌들은 시기와 질투를 쏟아냈지만, 그들의 예언은 보기좋게 빗나가고 말았다.

1436년. 피렌체 대성당 위에 106m 높이로 돔이 우뚝 솟아올랐다. 로마 ‘판테온’의 미학을 르네상스식으로 재해석 한 피렌체의 돔은 예술성과 기술성을 결합한 그야말로 천재의 한 수라 할만 했다.



#피렌체에 가면 조토의 종탑을 올라라

▲ 사진 왼쪽이 조토의 종탑(Campanile di Giotto)이다.조토가 제자 피사노와 함께 작업해 14세기말에 완성했다.  휴관일은 1월 1일, 부활절 일요일, 9월 8일, 12월 25일.
▲ 사진 왼쪽이 조토의 종탑(Campanile di Giotto)이다.조토가 제자 피사노와 함께 작업해 14세기말에 완성했다. 휴관일은 1월 1일, 부활절 일요일, 9월 8일, 12월 25일.

이곳을 찾은 관광객들이라면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앞에 누구나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 ‘부르넬레스키의 돔에 올라가느냐, 조토의 종탑(사진위 왼쪽 건축물)에 오를 것이냐’로 말이다.

부르넬레스키의 돔을 오르는 자체에도 의미가 있겠지만 사실 조토의 종탑에 오르면 돔을 가장 아름답게 조망할 수 있다. 멋진 여행사진은 덤이 되니 이곳에 올라 인생샷을 남겨보자.

1층에서 계산을 하고 나면 84미터 꼭데기까지 약 20분 가량 좁고 가파른 계단을 올라야한다. 1334년 조토가 제자인 피사노아 함께 제작해서 14세기말에 완성한 고딕양식의 이 종탑(Campanile di Giotto)은 높이가 87미터에 이른다.

▲ 르네상스 문화의 발생지인 피렌체 도시 전경이 한눈에 펼쳐진다.
▲ 르네상스 문화의 발생지인 피렌체 도시 전경이 한눈에 펼쳐진다.

땀을 흘리며 종탑 꼭데기에 이르니 너무나도 비현실적인 아름다움이 눈앞에 펼쳐졌다. 붉은 지붕들 사이로 장엄하고 웅장한 거대 돔 하나… 피렌체의 백미는 단연 이곳에서 바라보는 도시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종탑이 돔보다 먼저 완공됐으니 부르넬레스키도 이곳에 서서 자신의 작품을 감상했을 터. 당시의 상상을 더해 잠시 넋을 잃고 도시를 바라본다.

▲ 400만장의 벽돌을 지지대 하나없이 쌓아 올린 돔의 모습이 웅장하다.
▲ 400만장의 벽돌을 지지대 하나없이 쌓아 올린 돔의 모습이 웅장하다.

▲ 저멀리 베키오궁(사진 가운데위)이, 오른쪽엔 리퍼블리카 광장도 보인다.
▲ 저멀리 베키오궁(사진 가운데위)이, 오른쪽엔 리퍼블리카 광장도 보인다.

▲ 성당 맞은편에 자리한 산 조반니 세례당(오른쪽). 이 세례당은 피렌체 수호 성인 산 조반니에게 바치기 위해 11세기에 세워졌다.
▲ 성당 맞은편에 자리한 산 조반니 세례당(오른쪽). 이 세례당은 피렌체 수호 성인 산 조반니에게 바치기 위해 11세기에 세워졌다.




#“너의 서른 번째 생일날, 피렌체 두오모에서 만나자"


문득 이곳에 서서 쿠폴라 속 관광객들을 바라보니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가 떠올랐다.



소설로 영화로 큰 인기를 끌었던 '냉정과 열정 사이'에서 주인공 준세이와 아오이는 연인들이 사랑을 맹세한다는 피렌체 두오모의 쿠폴라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한다. 영화 속 대사처럼 피렌체의 쿠폴라는 두 사람의 사랑을 이어 주는 결정적인 오작교가 되었다.


▲피렌체를 사랑의 명소로 만든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피렌체를 사랑의 명소로 만든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피렌체에 다시 오면 꼭 저들처럼 쿠폴라에 오르자 했지만 두 번의 여행에서도 끝내 오르지 못했다. 사랑하는 연인과 떠났다면 달랐을까.



▲미켈란젤로가 그 아름다움에 반하여 '천국의 문'이라 불렀다는 기베르티의 작품. 기베르티가 청동문을 완성한 것은 작품 제작에 착수한지 23년이 지난 1424년이었다. 문 한 쌍을 만들기 위해 20년이 소요된 것이다.
▲미켈란젤로가 그 아름다움에 반하여 '천국의 문'이라 불렀다는 기베르티의 작품. 기베르티가 청동문을 완성한 것은 작품 제작에 착수한지 23년이 지난 1424년이었다. 문 한 쌍을 만들기 위해 20년이 소요된 것이다.

사실 부르넬레스키는 성당 앞 세례당의 문을 제작하는데만 관심을 가졌던 사람이었다. 1401년 제작 공모에서 절친 ‘기베르티’와 응시를 했지만 최종 우승자는 기베르티에게 돌아간 것.

공모에 낙선한 부르넬레스키는 로마에 가서 고대건축을 공부를 하게 됐고, 결국엔 피렌체의 상징인 돔을 만들게 됐다. 아마도 부르넬레스키가 공모에 우승했다면 우리는 피렌체 두오모의 돔을 다른 형식으로 마주했을 것이다.

무려 16년동안 만들어진 피렌체의 돔은 르네상스의 기적으로 불린다. 이 후 300년간 이런 돔을 만든 성당은 없었다. 미켈란젤로가 제작한 ‘베드로성당의 돔’도 바로 이 부르넬레스키의 공법을 응용한 것이다.

로마의 판테온, 피렌체의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그리고 바티칸의 베드로성당까지… 모방은 그렇게 위대한 창조를 낳았다.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을 두오모의 돔에서 배워본다. /연선우 기자




▲ 부르넬레스키의 석상이 있는 반대편에서 바라 본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 부르넬레스키의 석상이 있는 반대편에서 바라 본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이렇게 밤의 모습도 아름답다.
▲이렇게 밤의 모습도 아름답다.

tip
피렌체 여행객들이라면 ‘두오모 성당 통합권’을 눈여겨 보자. 이 티켓은 두오모 성당 내부와 지하 세례당, 쿠폴라, 조토의 종탑과 오페라 박물관 등 5곳의 입장이 가능하다.

두오모 성당 통합권(가격 15유로) :티켓 구입후 48시간 사용 가능/재입장 불가
티켓판매소(Biglietteria/Ticket office)는 두오모 성당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 위치

이어보기-피렌체(1) 아름답도다 ‘베키오 다리’… 그리고 히틀러의 사랑















-도시락(樂) : 세계 문화기행 기사 몰아보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