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역사문화권 특별법안' 공청회 국회에서 열려!

  • 전국
  • 전북

'가야역사문화권 특별법안' 공청회 국회에서 열려!

전북가야국가지원이 가능하도록 별도 법안 발의 위해

  • 승인 2018-03-27 22:26
  • 정영수 기자정영수 기자


「가야역사문화권 특별법안」공청회 국회에서 열려!



- 전북가야 국가지원이 가능하도록 별도 법안 발의(안호영 국회이원) 위해 공청회 개최

-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철과 봉수왕국」 전북에 존재 전북가야 위상 재정립 강조



- 발제자(곽장근 군산대 가야문화연구소장 "전북의 가야문화유산 현황과 과제,

홍성덕 전주대 교수 국가균형발전과 가야사 특별법의 방향)

- 전라북도 '18년 전북가야 관련예산 93억 확보 전북가야 발굴로 실체규명 박차

- 빠른 시일 내 전북가야 유적 국가사적 신청, 시군 및 정치권과 공조 국가예산 확보



전라북도는 3.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전라북도와 7개시군(남원, 완주,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이 후원하고, 안호영 국회의원실 주최 전북연구원 주관으로 동부권 7개 시군 주민 120 여명이 참여한 가운데「가야문화권 연구 조사 및 정비와 국가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안」공청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공청회는 이미 발의(이완영 민홍철 국회의원)되어 국토위에 보류중인 가야역사문화권 특별법안이 정비 중심으로 만들어져 경상가야 중심으로 지원이 될 것이라는 우려에 따라, 전북가야 등 연구조사가 미진한 지역에도 국가지원이 가능하도록 안호영 국회의원이 별도의 법률안을 마련하여 발의하기 위해 공청회를 가진 것이다.



송하진 전라북도지사는 축사에서 전북 가야는 그동안 제대로 조명 받지 못했다면서, 무엇보다 '철과 봉수왕국' 전북가야를 보여줄 수 있는 제철 유적이 전북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전북 가야의 위상은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만간 '가야문화권 특별법'이 마련되면, 조사·연구 및 발굴·복원에 대한 국가 지원이 강화되고, 진흥 즉 활용과 관련된 전담기관 설립이 가능해져 전북가야 역사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높이는 획기적인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가야역사문화권 연구·조사와 정비가 국가균형발전에 이바지 하기 위함이라는 목적을 분명히 명시함으로써, 지역 간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호·영남의 벽을 허무는 단초가 될 것 으로 기대하며, 전북가야가 당당히 우리 역사에 기록될 수 있도록 가야역사문화권 특별법제정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공청회 발제자로는 곽장근 군산대 가야문화연구소장이 전북의 가야문화유산 현황과 과제, 홍성덕 전주대 교수의 국가균형발전과 가야사 특별법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참여했으며,

종합토론자로 손덕환 국토교통부 지역정책과장, 김동대 문화재청 정책총괄과, 유철 전북문화유산연구원장, 최인선 순천대 박물관장이 참여했다.



송하진 전라북도지사는 전라북도는 금년에 93억원의 가야사 연구 및 정비 예산을 확보하여 중요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로 전북가야의 실체규명과 정비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국가사적 지정 신청을 하겠다고 밝히면서, 문화재청 정책을 수시로 공유하고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시군 및 지역 정치권과도 공조와 협조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주=정영수 기자 jys995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3.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4.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5.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1.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2.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3.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4.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5. 세종시의 2026년 국비 확보 전략은....주요 현안 과제 확정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