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가볼 곳] 대흥동 성당 옛 본당, 지역 유일 천연기념물까지

  • 문화
  • 문화 일반

[추석 가볼 곳] 대흥동 성당 옛 본당, 지역 유일 천연기념물까지

  • 승인 2019-09-13 15:00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한가위를 맞아 대전에 있지만 잘 몰랐던 문화재를 정리했다. 연휴가 끝나면 온가족 역사 교육을 위한 방문도 고민해 보자.

KakaoTalk_20190912_162052095
▲거룩한말씀의수녀회 성당(문화재자료 제45호)=거룩한수녀회성당은 현재 대흥동 성당의 본당이다. 대전에 천주교 신앙공동체가 생긴 것은 1913년부터로 1915년 목동 공소가 설정됐다. 이후 1919년 대전군 외남면 방축리의 생곡(현재의 대전시 목동)에 대전 본당이 설립됐다. 1920년 한옥성당과 객실이 건립됐고, 21년에는 한옥 사제관이 완공됐다. 이후 1945년 대흥동 본당이 신설돼 대전본당은 목동 본당으로 불렸고, 한국전쟁 당시 1950년 인민군 치안본부와 감옥소로 사용돼 대전시민에 대한 대량 학생이 자행된 아픔의 장소기도 하다. 1971년 목동본당은 성프란치스코회 소속의 거룩한말씀의수녀회로 양도됐다.

1659704
▲수운교 석종(문화재재자료 제13호)=수운교 본부의 천단에 놓여 있는 개구리 모양의 돌종이다. 다듬지 않은 자연석으로 밑부분에는 두 개의 작은 받침돌이 있다. 두드리면 신기하게도 쇠북소리가 들려 석고라고도 부른다. 석종은 보령에서 처음 발견됐다. 보령에 사는 수운교의 한 신도가 꿈을 꾼 후 그 장소에 찾아갔더니 꿈에서 본대로 이상한 바위가 있었고, 돌로 쳐 보니 쇠소리가 났다. 이후 수운교주에게 알려 1925년 지금 자리에 두었다고 한다.

1112026136.6___¸___48____________
▲서포 김만중 영정(문화재자료 제48호)=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지은 우리나라 소설문학의 선구인 서포 김만중 선생의 영정. 김만중 선생은 문과에 장원급제 한 후 공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다. 귀양 때를 제외하고는 어머니의 곁을 떠난 적이 없는 효자다. 이 영정은 원본을 보고 다시 그린 이모본(移模本)이다. 본래 영정은 서화에 능한 조카 죽천 김진규가 그렸다고 전해진다.



정면관에 야복 차림을 하고 공수 자세를 취하고 있는 18세기 초엽의 양식이다.

1645777
▲박팽년 유허지(기념물 제1호)=조선 전기 사육신 중 한 사람인 박팽년 선생이 살 던 곳으로 대전 동구 가양동에 있다. 박팽년은 세종 16년 문과에 급제한 후 집현전의 관원이 됐다. 1455년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단종 복위 운동을 꾸미다 세조 2년에 처형됐다. 죽은 후 유림 학자들이 선생의 집터가 없어지는 것을 염려해 현종 9년 주춧돌을 모아 송시열이 글을 짓고 송준길이 글씨를 써 비문을 세웠다. 유허비는 문화재자료 제8호다.

boardDownload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545호)=대전 괴곡동 느티나무는 높이 16m, 둘레 9.2m로 아름다운 수형을 자랑한다. 수령 700년으로 대전 유일의 천연기념물이다. 올해 칠월칠석을 맞아 지역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목신제를 개최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4.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5.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1.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2.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3.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4. 아산시, 'KTL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
  5.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헤드라인 뉴스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미국의 관세 압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한 이른바, ‘K-스틸법’ 제정에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다. 국회철강포럼(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국민의힘 이상휘 의원)이 9월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K-스틸법 발의, 그 의미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다. 이번 세미나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K-스틸법의 의의를 평가하고 후속 입법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인 K-스틸법 제정안에는 대통..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