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톡] 코로나 19, 사랑으로 이겨내자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심리 톡] 코로나 19, 사랑으로 이겨내자

김종진 여락인성심리연구소 소장

  • 승인 2020-03-27 00:00
  • 김시내 기자김시내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띄어 앉기<YONHAP NO-2884>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띄어 앉기
26일 오전 광주 북구청 민원실 대기 의자에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띄어 앉기를 유도하는 안내문과 인형이 놓여있다. 북구는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으로 코로나19 확산세를 막자는 의미로 '4월 6일에는 학교 가게 해주세요'라고 적은 문구를 어린이 인형과 함께 의자에 놓았다. 연합
긴급 재난 문자가 울릴 때마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또 생겼구나, 어느 동네 사람이지? 동선은 어떻게 되지?' 온 신경을 곤두세우게 된다. 내 주변이라면 그 사람이 걱정이 되고 어쩌면 내가 전염되었을 수 있고 그렇다면 혹시 모르는 사이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 시켰을 수도 있으니까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전 세계 35개국에서 약 10억 명 이상이 격리 상태에 있다고 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현재의 이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확진자와 확진자 가족, 의료진, 관계 공무원들은 물론이거니와 공연문화예술가들, 소상공인, 학원가, 증권가를 비롯하여 대부분이 코로나19의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생계를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다. 많은 사람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회적 고리로 살아가기 때문에 한쪽이 무너지면 다른 쪽도 무너지고 한쪽이 끊어지면 다른 쪽도 끊기는 이유다. 그래서 내가 어려우면 주변도 어렵고 주변이 어려우면 나도 어렵다는 것, 한꺼번에 여럿이 다 어렵다는 말이다.

감염증을 막기 위해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 두기가 가장 필요하다. 요즘 제일 많이 하는 말 중 하나가 '사회적 거리두기'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을 막거나 줄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정부에서도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고 많은 국민들이 따르고 있다. 어처구니없게도 가끔 이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로 인하여 감염병이 확산되기도 한다.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마음, 이런 것쯤 괜찮아, 하는 무대포적인 행동에서다. 한 사람의 확진자라도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모두가 뜻을 모아야 할 때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더불어 심리적 거리 두기도 필요하다. 방콕, 집콕 이라는 말이 유행하듯이 모든 상황이 가족, 집안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공간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하다보면 물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심리적 거리에도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가까운 곳에서 문제가 더 발생한다는 뜻이다.

요즘 전화 상담을 많이 한다. 심한 상담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상담 내용이 코로나 19로 집에만 있다 보니 가족 간에 불화가 자주 일어난다는 것. '코로나 블루'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우울감과 무력감을 나타내는 사람이 많다. 어느 부부는 둘 다 재택근무를 하면서 마음이 맞지 않아 힘들고, 40대 초반의 어머니는 코로나19 방학으로 종일 밥 차리다 끝나는 것 같다고, 일하랴 아이들 돌보랴 숨통이 막힌다는 하소연, 맞벌이하는 아들 내외를 위해 손자 들을 봐주느라 상경하신 할머니는 귀여운 손자들과의 갈등이 일어나고, 노인정이나 복지관에 못가는 어르신은 며느리와 부딪히고, 같은 공간 안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 있으니 사소한 일로 너그럽지 못하고 서로 간섭하고 화내고 짜증내며 싸우게 된다는 것, 남에게 양보와 배려는 사회적 예의상 참으면 되는데 가족이라는 친근함으로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이 이유이기도 하고 남은 잠깐 만나고 집에 가면 되지만 집은 잠깐 있다가 나가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누적되는 것이다.

코로나 19 감염증은 한두 달 안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쯤은 비전문가들도 안다. 적어도 올 여름, 길게는 연말까지 갈 전쟁 같은 싸움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암울한 전망이다. 언젠가는 끝이 나겠지만 경제적 후유증과 사회적 악영향이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그럴 때 일수록 가까운 곳에서부터 다독이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서로에게 힘을 주었으면 한다. 가장 기본적인 이야기지만 특히 가까운 사이부터 배려하는 마음 필요하다.

김종진 여락인성심리연구소 소장

김종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