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밖]소 잡기 또는 농민 잡기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안과밖]소 잡기 또는 농민 잡기

  • 승인 2008-04-23 00:00
  • 신문게재 2008-04-24 21면
  • 최충식 논설위원최충식 논설위원
소를 해체하는 모습을 보고 입을 쩍 벌리는 문혜군에게 포정은 강의한다. 능숙한 백정이 매년 한 번씩 칼을 바꾸는 것은 뼈를 ‘자르기’ 때문이라고, 보통 백정이 매달 한 번씩 칼을 바꾸는 것은 뼈를 ‘쪼개기’ 때문이라고. 포정의 칼은 19년 동안 수천 마리의 소를 잡고도 숫돌에서 막 새로 갈아낸 듯 날이 번쩍인다.


“정말 짱이다!” 문혜군이 감탄하며 말한다.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에 대해 터득하였노라!” 참으로, 세 치 혀에 미국산 쇠고기를 전면 개방한 것은 소를 처음 잡아 온통 소밖에 안 보이는 초보 백정의 눈높이다. 명색은 축산농가 전체의 명운이 걸린 일인데 소 잡는 기술은커녕 소 한 마리 잡는 정성만 못하다.

개방은 그렇다 치고, 미국 쇠고기가 싸고 맛있다고 홍보해주는 대통령이 과연 우리 대통령 맞느냐며 농민들은 생경해한다. 광우병 쇠고기를 강변하기를 “복어 독을 제거하면 걱정 없이 먹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협상 수석대표나, “광우병이 전염병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농식품부 장관은 어느 나라 장관이고 수석대표인지 의심스럽다.

피터 싱어 등의 ‘죽음의 밥상’ 기준에서는 소들이 들판에서 유유하게 풀을 뜯는다고 본다면 현대 축산업에 대한 무지다. 미국 소들은 젤라틴과 도살장의 찌꺼기를 먹으며 쇠똥밭 둔덕 위에 뒹군다. 영양학적이나 윤리학적 문제까지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번 협상은 선진당 이명수 당선자(아산)가 훈수 둔 대로 “알면서 저지르는 나쁜 행위”다.

자유무역협정(FTA)과 시장 다분화(多分化)가 피할 수 없는 상수적 환경이라 하더라도 이건 통상국가의 똑바른 모습이 아니다. ‘글로벌한’ 마음가짐도 중요하지만 우리 축산업은 농업 구조조정을 마감한 선진국과는 달리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용이하지 않다. 최고 축산군인 홍성군을 비롯한 전국 축산농가의 의견은 비대칭적으로 묵살당했다.

한술 더 떠 질 좋은 고기를 값싸게 먹기 싫으면 그만이라며 (빵이 없으면 케이크 먹으라는) 앙투와네트의 말투까지 흉내내려 한다. 축산 인구가 LA갈비 먹는 인구보다 적다고 그러는가 싶어, 두어 달 전까지 자유무역협정(FTA) 국내대책본부장을 지낸 홍영표 전 차관보에게 이 문제를 물었다. 그는 한.칠레 FTA와 관련해 포도농가에 900억 기금 중 3분의 1밖에 안 썼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동일 선상에서 쇠고기 문제도 별 걱정 없다고 단언한 그였지만 설마 이렇게 전개될 줄은 예상 못했을 것 같다.

협상이 협상이 아니었다면 대책은 대책이 될 수 없다. 세 야당은 어제 쇠고기 협상 청문회에 합의했다. 피해 아니 파국을 맞을 수 있는 축산농민에게 고급 한우가 살 길이니 고품질로 생산하자는 다그침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자는 흰소리와 현실에서는 다름없다. 소 수천 마리를 잡고도 늘 빛나는 칼날 같은 그런 협상력, 포정의 소 각뜨기(解牛) 기술이 느닷없이 절실해지는 것은 그래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