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밖]소 잡기 또는 농민 잡기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안과밖]소 잡기 또는 농민 잡기

  • 승인 2008-04-23 00:00
  • 신문게재 2008-04-24 21면
  • 최충식 논설위원최충식 논설위원
소를 해체하는 모습을 보고 입을 쩍 벌리는 문혜군에게 포정은 강의한다. 능숙한 백정이 매년 한 번씩 칼을 바꾸는 것은 뼈를 ‘자르기’ 때문이라고, 보통 백정이 매달 한 번씩 칼을 바꾸는 것은 뼈를 ‘쪼개기’ 때문이라고. 포정의 칼은 19년 동안 수천 마리의 소를 잡고도 숫돌에서 막 새로 갈아낸 듯 날이 번쩍인다.


“정말 짱이다!” 문혜군이 감탄하며 말한다.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에 대해 터득하였노라!” 참으로, 세 치 혀에 미국산 쇠고기를 전면 개방한 것은 소를 처음 잡아 온통 소밖에 안 보이는 초보 백정의 눈높이다. 명색은 축산농가 전체의 명운이 걸린 일인데 소 잡는 기술은커녕 소 한 마리 잡는 정성만 못하다.

개방은 그렇다 치고, 미국 쇠고기가 싸고 맛있다고 홍보해주는 대통령이 과연 우리 대통령 맞느냐며 농민들은 생경해한다. 광우병 쇠고기를 강변하기를 “복어 독을 제거하면 걱정 없이 먹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협상 수석대표나, “광우병이 전염병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농식품부 장관은 어느 나라 장관이고 수석대표인지 의심스럽다.

피터 싱어 등의 ‘죽음의 밥상’ 기준에서는 소들이 들판에서 유유하게 풀을 뜯는다고 본다면 현대 축산업에 대한 무지다. 미국 소들은 젤라틴과 도살장의 찌꺼기를 먹으며 쇠똥밭 둔덕 위에 뒹군다. 영양학적이나 윤리학적 문제까지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번 협상은 선진당 이명수 당선자(아산)가 훈수 둔 대로 “알면서 저지르는 나쁜 행위”다.

자유무역협정(FTA)과 시장 다분화(多分化)가 피할 수 없는 상수적 환경이라 하더라도 이건 통상국가의 똑바른 모습이 아니다. ‘글로벌한’ 마음가짐도 중요하지만 우리 축산업은 농업 구조조정을 마감한 선진국과는 달리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용이하지 않다. 최고 축산군인 홍성군을 비롯한 전국 축산농가의 의견은 비대칭적으로 묵살당했다.

한술 더 떠 질 좋은 고기를 값싸게 먹기 싫으면 그만이라며 (빵이 없으면 케이크 먹으라는) 앙투와네트의 말투까지 흉내내려 한다. 축산 인구가 LA갈비 먹는 인구보다 적다고 그러는가 싶어, 두어 달 전까지 자유무역협정(FTA) 국내대책본부장을 지낸 홍영표 전 차관보에게 이 문제를 물었다. 그는 한.칠레 FTA와 관련해 포도농가에 900억 기금 중 3분의 1밖에 안 썼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동일 선상에서 쇠고기 문제도 별 걱정 없다고 단언한 그였지만 설마 이렇게 전개될 줄은 예상 못했을 것 같다.

협상이 협상이 아니었다면 대책은 대책이 될 수 없다. 세 야당은 어제 쇠고기 협상 청문회에 합의했다. 피해 아니 파국을 맞을 수 있는 축산농민에게 고급 한우가 살 길이니 고품질로 생산하자는 다그침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자는 흰소리와 현실에서는 다름없다. 소 수천 마리를 잡고도 늘 빛나는 칼날 같은 그런 협상력, 포정의 소 각뜨기(解牛) 기술이 느닷없이 절실해지는 것은 그래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3.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4.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1.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2.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3.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4.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5.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충남도가 21개 기업으로부터 45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이끌어냈다. 김태흠 지사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석필 천안시장권한대행 등 6개 시군 단체장, 한민석 웨이비스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 등과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30만여㎡의 부지에 총 4448억 원을 투자,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타지역에서 충남으로 이전하고, 국외에서 복귀한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가동할 경우 신규 고용 인원은 총 1316명이다. 구체적으로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엔 경기도 소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