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만나는 다양한 방법, 세종 때 천문관측 기구'대간의'

  • 시민기자
  • 시민기자 뉴스

대전을 만나는 다양한 방법, 세종 때 천문관측 기구'대간의'

대전의 천지사방을 열치다 천문연 소재… 600년만에 복원한 유산…국토의 중심인 삼천교 둔치에 설치돼야

  • 승인 2014-09-11 13:27
  • 신문게재 2014-09-12 10면
▲ 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
▲ 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
대간의란 무엇인가=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大簡儀)는 세종 때에 천문관측에 쓰던 큰 간의(簡儀)를 거의 600년 만에 복원(復元)한 것으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과학문화유산이다. 간의는 이상적이기는 하나 매우 복잡하고 관측하기 불편한 혼천의(渾天儀, 璇璣玉衡)를 간소화해서 만든 천문관측 의기(儀器)이다.

현종 10년(1669) 동춘당 송준길이 세종 때의 옥루(玉漏, 자격루의 일종)가 설치된 흠경각(欽敬閣) 옛 제도의 복구를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였다. 그래서 그 해에 이민철이 수격식(水激式) 혼천의를, 송이영이 윤격식(輪激式) 혼천의를 제작하였다. 송이영의 혼천의는 혼천시계(渾天時計, 국보 제230호)라고도 하며, 현재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늘과 땅의 사방을 열어보자=대전의 중심이자 국토의 중심인 삼천동(三川洞, 현 둔산3동)의 삼천교 아래 둔치에 대간의를 설치해보자. 그리고 사유환(四遊環)의 규형(窺衡)과 백각환·적도환의 계형(界衡)을 통하여 하늘의 사방을, 입운환(立雲環)의 규형과 지평환을 통하여 하늘과 땅의 사방을 힘차게 열어보자.

하늘의 중심에 있는 삼원(三垣:太微垣, 紫微垣, 天市垣)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28수(宿)를 살펴보면 천문을 알 수 있다. 태미원은 남방7수 위에 있고, 자미원은 그 안쪽에 천추성(天樞星,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시원은 동방7수에 가까이 있다. 동방은 오행으로는 목(木)이고, 봄에 해당하며, 주재신은 청룡이다. 동방7수(각·항·저·방·심·미·기)는 진(辰:角·亢)방, 묘(卯:房·心)방, 인(寅:尾·箕)방으로 나뉘어 청룡의 머리, 몸통, 꼬리에 해당한다.

계족산 자락에 무수한 성혈=대전의 동방인 계족산 자락에는 산맥의 흐름을 따라서 남북으로 홈구멍인 성혈(性穴)이 무수히 많다. 특히 대덕구 동춘당 동쪽 계족산 자락의 비래동고인돌의 덮개돌에는 수십 개의 성혈이 다양한 문양과 크기로 존재한다. 북쪽의 우람한 응봉산을 마주한 선사시대의 부족장이 하늘의 3원과 28수를 이곳에 새기지 않았나 싶다. 주변에서도 많은 성혈이 발견된다.

또한 대덕구 읍내동 당산(堂山)의 배바위(船巖)에 있는 수십 개의 성혈은 계족산자락과 갑천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이는 동구 천동의 알바위 성혈들과 궤를 같이한다. 즉 생명탄생과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인 남두(斗)육성과 기(箕)성 즉 궁수자리가 새겨져 있다.

대덕구의 계족산 정상 입석에는 일렬로 된 삼태성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고, 회덕초등학교 경내에는 직각의 삼태성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전자는 죽음을 관장하는 북두(斗)칠성 아래의 삼태성이나 삼(參:오리온자리)수의 삼태성으로 보이고, 후자는 직녀, 견우, 천진으로 여름철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자리로 보인다.

훼손된 생태환경 복원 꾀해야=대전의 중심에서 동쪽의 천지를 일부 가늠해보았다. 선사인은 거시적 관점에서 생태에 순응하며 살아왔음을 성혈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동춘당 송준길이 그랬듯이 이제 우리도 거시적 융합적 관점으로 천지를 관찰하여, 훼손된 생태환경의 복원을 꾀하여야할 것이다.

김진희 시민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2.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3.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4.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5. '대덕특구 사이언스센터' 딥테크 혁신성장 허브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충남에서 치사율 100%(급성형)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충남도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양돈농가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이동 제한 등 긴급 차단 방역에 돌입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당진시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했다. 농장주는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에 대한 ASF검사를 진행, 이날 오전8시 양성 판정을 내렸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