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용돈은 그대론데 생활비 급증... 밥값부터 줄인다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학생 용돈은 그대론데 생활비 급증... 밥값부터 줄인다

한달 생활비 51만원… 3년 동안 15만원 늘어

  • 승인 2018-03-18 10:18
  • 신문게재 2018-03-19 5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생활비
/게티이미지뱅크
대학생들의 용돈은 그대로인데 생활비는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로인해 대다수 학생들이 '밥값'을 줄일 생각이라고 답했다.

잡코리아의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최근 대학생 27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생활비로 한달 평균 51만4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년전에 비교하면 월 평균 약 15만원을 더 쓰는 셈이다. 생활비는 크게 올랐지만 용돈 수준은 그대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용돈은 월 평균 28만8000원으로 2015년 22만4000원보다 6만4000원이 올랐다. 생활비에서 용돈이 차지하는 비중이 56%로, 2015년 61.2%보다 5.2%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알바몬 분석에 따르면 생활비와 용돈의 지출 비중은 자취여부에 따라 좌우됐다. 본가에서 생활하는 대학생의 생활비는 월 44만6000원, 자취나 하숙을 하는 학생은 65만5000원을 지출해 21만원 가량 부담이 더 컸다. 용돈도 본가에서 통학하는 학생보다 자취생들이 월 평균 5만원을 더 쓰고 있었다.

올해 대학생들의 지출증가량은 '지난 학기와 다름없다'는 의견이 47.4%로 가장 많았고 '지난 학기 보다 늘었다'는 응답은 34.9%, '줄었다'는 응답은 17.7%였다. 지출이 증가한 이유(복수응답)로는 '물가 상승(51.6%)'이 1위로 꼽혔다. 반면 씀씀이가 줄었다고 답한 대학생들은 그 비결(복수응답)로 '모임, 약속을 줄인다(48.7%)'를 1위로 꼽았다.



만약 물가가 오른다면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무엇을 뺄 것인가 라는 질문엔 대다수 대학생들은 밥값부터 줄이겠다고 답했다.

남녀 대학생 모두 식비를 줄인다(66.7%)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남학생은 술·담배·모임회비를, 여학생은 의류 및 화장품 구입비를 줄인다(56.6%)고 말했다.

대전 대학가 원룸에서 자취를 하는 강지연씨는 "알바로 월세를 내며 학교를 다니는데, 최근 외식비가 너무 많이 올랐다"며 "부모님께 손을 내밀고 싶지 않아 주말 알바를 구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1. ‘선배님들 수능 대박’
  2.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3.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4.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5. 대전교육청 2026년 예산 2조 9141억 원 편성… 2025년比 1170억 원 증가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