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과 산]광주를 품은 5월의 무등산

  • 전국

[여행과 산]광주를 품은 5월의 무등산

  • 승인 2018-05-11 09:0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80510_154224818
무등산의 주상절리.화산활동의 흔적이다.서석대로 가는 길에 만날 수 있다.
1187번. 무등산 원효사 가는 광주 시내버스다. 원효사는 무등산을 오르는 등산로 중의 한 곳에 자리잡은 사찰이다. 원효사에서 오르는 등산로는 일반인에게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외지에서 오는 등산객에게 광주 시민들은 어김없이 원효사 가는 1187번을 알려준다. 광주에서 1187번 시내버스는 특별하다. 대개 시내버스 번호는 두 자리거나 세 자리이기 때문이다. 1187m. 무등산의 해발 높이다.

무등산은 광주 시민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광주와 무등산은 떼어 놓고 말할 수 없다. 이 둘은 늘 함께 한다. 그만큼 무등산은 광주 사람들에게 존경의 대상이자 신적인 존재다. 한국 프로야구의 전설 선동열은 '무등산 폭격기'로 불렸다. 최동원과 야구계에서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진 선동열은 기아 타이거즈의 전신 해태 타이거즈 소속이었다. 투수 선동열은 공을 뿌리는 속도가 150km나 된다고 해서 '무등산 폭격기'라는 어마무시한 닉네임을 얻었다. '무등산 수박'도 빼놓을 수 없다. 무등산에서만 난다는 이 수박은 일단 크기가 압도적이다. 맛과 향도 남달라서 비싼 값에 팔린다. 5월, 광주의 상징 무등산에 올랐다.



원효사에서 정상 부근까지는 차가 오르내릴 수 있는 신작로가 나 있다. 이른바 작전도로인 셈이다. 무등산 정상엔 군사보호 시설이 있기 때문이다. 갓 마흔 넘어 이 길을 오른 적이 있다. 아스팔트는 아니지만 찻길을 오르는 게 썩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었다. 혼자 오르는 산행이라 다른 길은 알 턱이 없었다. 겨울 끝자락이었는데 날씨 탓인지 등산객은 나 외의 사람은 한명도 안 보였다. 이번엔 우연히 무등산을 잘 아는 광주 사는 아주머니와 함께 가 보지 않은 길로 가는 행운을 얻었다.

외진 비탈길로 가는 등산로는 능선을 타는 멋진 코스였다. 중봉 능선은 환상적인 짜릿함을 주었다. 진달래가 피고 진 자리에 진분홍 철쭉이 피었다. 처음 들어본 고추나무 꽃도 보았고 뽀얀 솜털이 날리는 탐스런 갯버들강아지도 만났다. 내내 머리를 지끈거리게 했던 미세먼지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유리알처럼 투명한 공기를 폐부 깊숙이 들이마셔 가슴을 한껏 부풀렸다. "아따! 되다." 나의 동행자는 숨이 차는 지 뒤따라오면서 헉헉거렸다. 역시 광주였다. 광주는 전라도 사투리가 센 지역이다. 대도시임에도 남도 분위기를 징하게 뿜어낸다. '되다'는 충청도의 '대간하다'와 같은, '힘들다'란 의미인 것 같다.



동행자와는 중봉에서 헤어졌다. 서석대까지 같이 가기로 했는데 나와 속도를 맞추기 어렵단다. 아무래도 삐친 모양이다. 나중에 계룡산에 가고 싶은데 같이 가자며 연락처를 달라길래 확신할 수 없다고 얘기했다. 지키지 못할 약속은 안 하는 게 상대방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왜냐면 여행지에서의 감흥에 취해 연락처를 주고받지만 다시 연락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중봉에서 중머리재를 거쳐 장불재까지 가는 길은 가을에 가장 어울릴 만한 풍광이다. 길 양쪽으로 억세 군락이 드넓게 펼쳐진다. 가을에 다시 한번 무등산 품에 안길 것 같은 행복한 예감이 들었다. 드디어 서석대가 보였다. 서석대로 오르는 길은 돌계단이 끝없이 이어진다.

무등산 주상절리 앞에 서면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그 규모에 압도당한다. 정상에 솟아있는 서석대와 입석대는 주상절리의 일부다. 해발 1000m 고지대에 뜬금없이 돌기둥들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어 대자연의 장엄함을 경험하게 된다. 제주도 해안가에도 주상절리가 있지만 산 위에 5, 6각형의 10m가 넘는 돌기둥이 무더기로 서 있는 모습은 태초의 신전을 떠올린다. 8500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한반도에 화산 폭발이 있었다고 한다. 강력한 지각변동과 화산 활동으로 지금의 무등산의 위용이 형성된 것이다. 유네스코는 지난 4월 무등산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 안타깝게도 무등산 정상엔 군사시설이 있어 서석대와 입석대는 출입금지다. 1년에 하루 개방하는데 올해는 5월 12일이었다. 아쉽지만 멀리서나마 눈을 맞춰야 한다.

무등산에서 바라본 광주 시내가 한 눈에 들어온다. 광주는 해발 1000m가 넘는 무등산이 품고 있는 형상이어서 광주 시민들에게 무등산은 어머니 같은 산이다. 태풍 같은 봄바람에 제대로 서 있기가 힘들었다. 그 해 5월에도 이렇게 바람이 불었을까. 뒤따라 올라 오던 청년들의 대화를 듣자니 광주에 소재한 대학들은 축제를 5월이 아닌 가을에 연다고 한다. 광주 시내 거리에 '보아라 5월의 진실, 불어라 평화의 바람'이란 플래카드가 나부끼는 걸 원효사 가는 버스 안에서 보았다. 광주 시민들에게 5월은 분노와 상처의 계절이다. 상처는 극복되지 않는다. 다만, 견딜 뿐이다. 전두환을 비롯한 가해자들의 뉘우침은 아직도 들리지 않는다. 그들의 뻔뻔함에 치가 떨린다. 신록이 나부끼는 5월의 무등산은 잠들지 못한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KakaoTalk_20180510_154542453
무등산에는 이처럼 주상절리가 흔하다.
KakaoTalk_20180510_154418126
무등산에서 내려다 본 광주 시내.
KakaoTalk_20180510_154256355
멀리서 본 서석대. 서석대는 군사시설이 있어 출입금지 지역이다. 일년에 하루 개방한다.
KakaoTalk_20180510_153834208
중봉 능선.
KakaoTalk_20180510_154007892
KakaoTalk_20180510_153740214
KakaoTalk_20180510_153904493
KakaoTalk_20180510_153816129
KakaoTalk_20180510_15392444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