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과 지식재산]특허권 소멸과 특허정보 활용

  • 경제/과학
  • 지역경제

[4차산업혁명과 지식재산]특허권 소멸과 특허정보 활용

김태만 특허청 차장

  • 승인 2018-11-14 10:34
  • 신문게재 2018-11-15 22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특허청 김태만 차장
김태만 특허청 차장
절기상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立冬)을 지나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어 겨울 기분이 든다는 소설(小雪)이 다가온다. 이때면 집집마다 김장을 담그는 등 겨울 준비가 한창이다. 이렇게 11월은 겨울의 초입이자 한해의 마무리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하지만 이 겨울이 지나면, 다시 새로운 봄이 시작된다. 이러한 계절의 순환은 자연의 이치다.

특허의 탄생과 소멸 과정도 '순환(循環)'이라는 자연의 이치가 적용된다. 새로운 기술이 발명되어 특허로 등록을 받으면 특허권이 탄생한다. 권리자는 특허권을 독점 사용하고, 제3자가 침해하면 법률로서 보호받는다. 시간이 지나 권리가 소멸되면, 공중의 기술이 되어 새로운 발명의 토대가 마련된다. 이 과정은 식물이 싹을 틔우고 성장하여 열매를 맺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새로운 싹을 틔우기 위한 밑거름이 되는 과정과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특허의 일생에서 11월은 언제일까? 아마도 독점권을 누리던 전성기를 지나 권리가 소멸될 때일 것이다. 특허의 소멸은 존속기간이 만료되는 때다. 보통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 되는 날까지지만, 해가 갈수록 특허유지비 부담이 커지고, 사용되지 않는 특허도 많기 때문에 일찍 소멸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하지만 정말 돈 되고 중요한 특허들은 오히려 존속기간이 연장되기도 한다. 암 치료제와 같은 신약은 인허가에 장시간 소요되어 그 기간 동안 독점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5년 이내에서 독점권을 행사하지 못한 기간만큼 연장된다. 연장된 특허는 소멸하는 그날까지 가치를 발휘하는데, 수백억의 가치를 갖는 소위 '블록버스터 특허'도 있다.



독점권이 사라진다고 그 특허가 그대로 잊히는 것은 아니다. 소멸된 특허에 기재된 기술정보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개발이나 상용화에 활용된다. IBM의 레이저 프린터 원천특허는 1974년 출원되어 1994년 존속기간이 만료됐지만, HP와 캐논 등에서 개량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된 것이 대표적이다.

특허의 내용을 기술한 명세서는 어떤 기술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그로 인해 어떤 효과를 얻는지가 아주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런 기술정보는 보통 영업비밀이나 노하우이기 때문에 특허명세서 외에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특허 제도는 이러한 고급 기술정보의 공개를 유도하고 독점권이 해제되면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술개발 과정의 시행착오와 소요 시간·비용 등을 크게 단축하여 궁극적으로 산업발전에 기여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처럼 특허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정보, 즉 특허정보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가 차원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혁신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혁신의 기초가 되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제품은 무에서 창조되지 않는다. 선행 발명들을 기초로 산업계에 정말 필요한 무엇을 만들어내는 한 발자국의 진보가 필요하다. 터치스크린, 인터넷, 전화기, MP3 등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는 공개된 기술들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 애플의 '아이폰'이 좋은 예이다.

특허청도 이러한 특허정보의 중요성에 일찍부터 주목하고 있다. 그래서 특허청은 출원된 발명을 심사하여 좋은 권리로 만들어주는 기본 역할에 충실하면서, 우리 국민과 기업들이 공개된 특허정보를 잘 활용하도록 다양한 지원도 함께하고 있다. 수백만 건의 특허정보를 DB화하여 보급하고, 특허정보를 분석하여 신기술개발 전략을 세우는 컨설팅(IP-R&D)도 지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말했다. 이는 비단 예술에만 적용되는 격언은 아니다. 사라지는 특허를 새로운 발명을 위한 영감의 소재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4.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5.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