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파리의 밤은 창업에 젖어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파리의 밤은 창업에 젖어

  • 승인 2019-06-06 21:38
  • 신문게재 2019-06-07 22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에펠탑, 세느강, 루브르 박물관으로 대표되는 파리, 예술과 패션의 도시인 파리, 샹젤리제의 화려한 밤거리 풍경으로 이름난 파리는 전 세계 관광객이 꼭 한 번은 가보고 싶은 세계 최고의 명소로 프랑스의 자존심을 대변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2000년에 접어들며 전 세계는 혁신적인 기업가정신에 기반한 스타트업 생태계의 육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프랑스는 유럽 내에서 영국, 독일 ,핀란드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더구나 프랑스는 지금까지 물리학, 화학, 의학 분야에서 30개 이상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였으며, 연간 7만명 이상의 박사 취득자를 배출하는 등 훌륭한 기술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기술 강국이다.

이에 미테랑 대통령 하의 프랑스 정부는 2013년 말에 중소기업혁신 디지털 경제부의 플뢰르 펠르랭장관의 주도하에 전국의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조성을 통한 디지털 경제성장을 추구할 목적으로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를 출범시키게 된다. 라 프렌치 테크는 프랑스 창업 생태계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으며 불과 수년 만에 전 세계적으로 그 위상이 크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유럽 내에서 글로벌 창업 생태계의 주도권을 놓고 선의의 경쟁을 벌이고 있는 런던과도 유사한 규모의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라프렌치 테크의 파리 리젼에서만 연간 400개의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는 프랑스 전역을 거대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로 만들기 위한 지역혁신 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고, 이와 병행해 해외 우수 스타트업의 프랑스 유치를 위해 프렌치 테크 VISA(La French Tech VISA)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본 VISA 프로그램은 간단한 절차만 거치면 창업자, 직원, 투자자에게 최대 4년까지 프랑스에 거주할 수 있는 체류권과 워크퍼밋(Work Permit)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창업 생태계 육성 정책에 화답하여 민간 주도의 창업 생태계도 급성장하고 있는데, 그 하나의 대표적인 사례가 스타치온 F(Station F)이다.

스타치온 F는 파리의 13구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스타트업 캠퍼스로서 20년간 사용되지 않던 철도역사를 2013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7년 7월에 문을 열게 되었다. 스타치온 F는 프랑스 정보 통신 기업인 프리(Free)의 CEO인 자비에르 닐(Xavier Niel)이 사비 4천억원을 투자하여 설립하였으며, 네트워킹과 외부대관이 가능한 셰어죤과 1,000개의 스타트업이 입주할 수 있는 크리에이트 존, 휴식과 식사를 위한 칠존 3개로 나뉜다. 이 중 칠존은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특히 쉐어존에서는 30개 이상의 정부기관 담당자가 입주하여 창업 생태계를 지원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투자사와 엑셀러레이터 및 변호사가 상주하여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스타치온 F에서는 30개의 보육 및 육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중 10개는 마이크로 소프트, 페이스북, 루이비통, 아디다스 등의 대기업이 주도하여 운영하고 있고, 10개의 프로그램은 대학교, 나머지 10개는 액셀러레이터가 주도하여 운영하고 있다. 스타치온 F가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도 2가지가 있는데, '스테이션 F Founder' 프로그램은 모든 기술분야에서 혁신적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프로그램이며, 'Fighters 프로그램'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창업자를 위한 CSV(Cooperate Shared Value)차원의 프로그램이다.

프랑스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VIVA Tech'라는 국제 전시회를 2016년부터 파리에서 개최하고 있는데, 4년 차인 올해에는 개막식 날 마크롱 대통령도 참석하여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고, 전 세계 125개국에서 9,000여개의 스타트업과 300여개의 대기업이 참여하여 대기업과 스타트업간의 개방적 혁신 관점에서 자연스러운 협업이 모색되고 있다. 비바테크는 신생 전시회임에도 현재 급격히 성장하고 있어 작게는 프랑스, 크게는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의 스타트업 동향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판단되며, 우리나라도 CES, MWC와 더불어 VIVA Tech를 유럽 및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하기 위한 더욱 공격적인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썰] 박범계, 검찰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득 or 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