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법인화 추세… 대전예당도 가능할까

  • 문화
  • 문화/출판

예술의전당 법인화 추세… 대전예당도 가능할까

세종문화회관 등 4개 공공 공연장 법인체제
예술의전당 개관 이후 관람객 5000만여명 달해
문화예술발전 순기능과 함께 고용문제 난관

  • 승인 2019-08-22 08:42
  • 신문게재 2019-08-22 6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KakaoTalk_20190821_150649204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 방안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예술의전당 법인화 논의가 재점화 되고 있는 가운데, 타 시도 예술기관도 속속 재단으로 변경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국립 및 특·광역시 공공 공연장은 서울 3곳,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각 1곳 총 9곳이다. 이 중 재단으로 운영 중인 곳은 4곳이다.



서울 예술의전당은 1988년 개관했고 1987년 1월 27일 특수법인으로 재단이 설립됐다. 1987년 개관한 세종문화회관은 1999년 7월 1일 재단법인이 설립됐다. 공공 공연장 중 가장 먼저 문을 연 국립중앙극장은 1973년 개관 후 29년만인 2012년 1월 1일 책임운영 체제가 됐다. 부산문화회관은 가장 최근인 2017년 재단법인으로 설립됐다.

대전예술의전당(대전예당)은 2003년 가장 늦게 문을 열었고 현재까지는 시 사업소로 운영되고 있다. 대전예당의 재단 법인화에 대한 필요성은 10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재정 자립도가 현저히 낮고 임기제 공무원의 비율이 높아 효율적인 공연 기획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기관의 법인화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은 '공공성의 저해'다. 재정자립도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공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다.

여기에 예산 삭감, 활동 위축도 문제이나 이는 타 시도 사례를 살펴본다면 이는 기우라는 전문가들의 이야기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과거에 비해 예산지원이 늘어 예술적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관객의 호응이 높아지는 등 경영성과가 좋아졌다는 평가다. 서울에 있는 7개 국립공연장이나 지역 법인 체제 공공극장도 법인화로 인한 공공성이 저해에 대한 불안적 요소는 사실상 없다.

예술의전당은 설립 초기부터 상주단체를 두지 않는 시스템으로 운영하며 국내외 우수 단체 공연 유치로 공연의 질을 높여왔다. 작가·연출가를 선정해 작업을 일임하고 제작 전체를 책임지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다목적홀을 탈피해 클래식 음악 전용공간 등 공간의 전문성을 높였다. 창작 오페라를 비롯해 입문용 오페라 등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관 이후 총 5089만2302명 방문이라는 실적을 거뒀다.

대전예당의 경우 1년 동안 관객 수는 대략 2만5000명이고, 개관 당시 155개 작품으로 약 21만 명을 동원한 이력이 있다. 향후 재정자립도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고용 형태가 된다면 법인화를 발판으로 지역 문화예술계도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다만, 법인화 추진 과정에서 예당 소속 직원들의 고용 문제나 재정적 자립 문제는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다.

대전예당 내에서는 "법인화 논의보다는 임기제 등 고용 불안 속에서 일하는 고용 문제부터 푸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원/달러 환율에 발목…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 동결
원/달러 환율에 발목…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 동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1470원대를 넘나들며 1500원대를 위협하는 원·달러 환율의 불안정성이 금리 인하 결정의 발목을 잡았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금통위는 올해 2월과 5월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하며 지난해 10월부터 완화 기조를 이어갔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인하 결정을 멈추고 7·8·10·11월 네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달 금리 동결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원·달러 환율이다...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