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다문화]일본 불매운동을 바라보는 또 다른 눈

  • 전국
  • 천안시

[천안 다문화]일본 불매운동을 바라보는 또 다른 눈

  • 승인 2019-08-31 13:17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저는 1995년에 한국인 남편을 만나 1997년 2월에 한국으로 건너왔습니다.

타국에서 사는 것이 힘들 것 같아 겁이 났지만 따뜻한 한국인의 정(情)에 감동해 한국 국적으로 귀화했습니다.



그리고 4남매 아이들과 남편 이렇게 가족 6명과 22년째 알콩달콩 살고 있었습니다. 지난달까지는 일본사람이라는 이유로 불편함 없이요.

요즘 한국에서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집중되어있지요.



불매운동에 대한 제 생각과 느낌을 써보려고 합니다.

가족이 모여서 티비나 뉴스를 보고 있으면 꼭 불매운동 내용이 나옵니다. 그러면 저는 마음이 아프고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복잡한 마음이 듭니다.

부인이 일본인인 남편은 티비 채널을 돌리고 엄마가 일본인이고 몸과 마음의 반은 일본인의 피가 흐르고 있는 아이들도 이런 것을 보면 불편하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도 'KBS 개그콘서트'를 다 같이 보다가 '국제유치원'이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거기서 일본인 친구가 주는 배를 먹고 "아~배! 아~배!(아베)" 라고 배가 아파졌다거나 일본인 친구가 주는 볼펜을 보고 "제 펜 싫어!(JAPAN싫어)"라고 하며 마지막에는 일본인 친구를 왕따 하면서 끝이 났습니다.

관객석에는 웃고 있는 모습이 나왔지만, 우리 가족 모두는 웃지 못했습니다.

2018년도 통계청에서 확인을 해보니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 결혼이민자가 1만3738명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한일가정이 1만3738가정이 있다는 뜻이고 그들의 자녀, 시부모님, 친척 등까지 포함하면 일본인과 직접 관련이 되어있는 분들이 어마어마한 숫자가 될 것입니다.

개그 내용도 불매운동도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하는 행동이지만 만약 불매운동에 동참하거나 활성화하자고 하시는 분들, 일본 차를 부수는 분들.

그분들 모두가 한국&일본 다문화가정이었다면, 아니면 그분들의 자녀들 모두가 한일 다문화가정이었다면 이렇게까지 할까요? 이런 불매운동이라는 방법으로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을까요? 불매운동을 이대로 놔두고 있을까요?

문제가 생기면 상대방에게 불편함을 주며 왕따를 하고 싸우고 해결하는 나라와 어른들의 모습을 보고 순수한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고 성장하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정치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한국도 일본도 사랑하는 평범한 결혼이민자입니다.

일본 가게에 들어가거나 일본제품을 눈치를 보면서 써야 하는 요즘. 뭔가 자유가 없어지고 있다고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이성적인 방법으로 한일간의 문제를 해결해서 한일 간 관계가 좋아지고 서로 발전해서 세계의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인도 외국인도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 되길 바라는 마음뿐입니다. 노은서 명예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3.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4.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5.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