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판 '살인의 추억'… 장기 미제사건 6건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대전판 '살인의 추억'… 장기 미제사건 6건

1998년~2006년 미제사건 총 6건
2007년 이후 못 잡은 범인 없어

  • 승인 2019-09-19 16:05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미제사건
사진 = 연합뉴스
"아침부터 한 남자가 피 묻은 옷을 세탁해줄 수 있는지 물어보는데 안 된다고 했죠. 그리고 한 시간 뒤 다시 와서 물어봤는데, 무서워서 그냥 돌려보냈어요."

2006년 4월 11일 개인택시 운전사 김모 씨(당시 56세)가 자신의 차량 뒷좌석에서 흉기에 찔려 살해당하고 경찰이 주변을 탐문하다가 한 세탁소에서 들은 얘기다. 이후 추가 증거나 단서를 찾지 못해 '송촌동 택시기사 살인사건'은 아직도 풀리지 않은 장기 미제사건으로 남아있다.



‘화성 연쇄 살인사건’ 유력 용의자가 확인된 가운데, 대전경찰청 ‘미제사건전담팀’이 수사 중인 미제사건은 모두 6건.

가장 오래된 미제사건은 1998년 8월 21일 서구 갈마동 월평산 계곡에서 가출한 여고생(당시 15세)이 반나체 상태로 살해당한 사건이다.



2001년 12월 21일에는 둔산동 한 은행 지하주차장에서 현금 호송직원을 권총으로 쏘고 현금 가방을 가지고 달아난 '대전 은행 권총 사건', 2005년 11월 2일엔 갈마동 한 빌라에서 살해당한 여성의 사체에 밀가루를 뿌리고 도망간 '갈마동 빌라 살인사건'이 있다.

'송촌동 택시기사 살인사건'이 일어난 2006년에는 8월 자양동 한 원룸에서 중학교 여교사가 살해당한 '자양동 여교사 살인사건', 12월에는 78세 노파가 성폭행당한 후 살해당한 '법동 아파트 살인사건'이 있다.

대전경찰청 김범수 미제사건전담팀장은 "아직 잡지 못한 범인이 있지만, 모든 수사기법과 과학수사를 통해 계속 수사 진행 중"이라며 "피해자와 유족들의 한을 풀어줄 날이 올 거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