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개천절과 홍익인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개천절과 홍익인간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9-10-0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10월 3일은 개천절이다. 개천절 하면 떠오르는 생각 하나, 고등학교시절 단군상을 그린 일이다. 부탁한 사람 소유 책 속의 그림을 확대 모사한 것이다. 풀로 된 모자를 쓰고 도포 모양의 겉옷에, 어깨 위로 나뭇잎을 두른 모양이다. 무슨 책이었는지, 이유가 무엇인지 확실하지 않다. 다만 부탁한 사람이 단군 숭모 모임 소속 아니었나 생각한다.

단군을 보는 견해가 제각각이다. 실제 역사 인물로 보기도 하고, 신화나 전설로 보기도 한다. 단군을 우상이라며 단군상이나 그림을 철거 또는 훼손하는 세력도 있다. 대단한 과오요, 무모한 일 아닐까? 창조론과 진화론 만큼이나 시각차가 크다. 역사적 사실이 아닌 신화나 전설로 본다고 문제 될 사안도 아니다. 인류 발생을 궁금히 여기는 것처럼, 나라 개국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 것은 당연지사다. 그 의문을 풀어내는 한 방법이 신화나 전설이다. 집단적 잠재의식이나 정서, 집단문화의 발로가 그것이기 때문이다.



단군
개천절인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사직단 단군성전에서 열린 2019년 "단기 4352년 개천절 대제전"에서 홍석창 현정회 회장이 제향의식을 하고 있다./연합
시작한 김에 단군신화를 다시 한번 살펴보자. 가장 오래된 기록이라 할 수 있는 『삼국유사』 끝부분을 제외한 원문 그대로 해석한 내용이다. 좀 길지만 옮겨 보자.

"<위서魏書>에 이르기를, 이제 2,000년이 지나갔다. 단군왕검이 있었다. 아사달(阿斯達, 경經에는 무엽산無葉山 또는 백악白岳이라 부르는데 백주白州 땅에 있다. 혹은 개성開城 동쪽에 있다 한다. 지금의 백악궁白岳宮을 이른다)에 도읍을 정하고 조선朝鮮이란 국호國號로 나라를 연다. 이것은 고高와 같은 시기이다.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옛날에 환인(桓因, 제석帝釋을 말함)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있었다. 수시로 천하에 뜻을 두어 사람 사는 세상을 탐한다. 아버지가 아들 뜻을 알고 내려다보니 삼위태백산三位太伯山이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해 줄만하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보내 다스리게 한다.

환웅桓雄은 무리 3,000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마루(곧 태백산太白山은 지금의 묘향산妙香山) 신단수神檀樹 아래 내려온다. 이것이 신시神市이고, 이분을 환웅천왕桓雄天王이라 이른다. 그는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식·수명壽命·질병疾病·형벌刑罰·선악善惡 등을 주관한다. 모든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여 세상을 다스리고 교화(敎化)한다.

이때 범 한 마리와 곰 한 마리가 같은 굴에 살고 있었다. 항상 신웅(神雄)에게 기도하여 사람으로 변하기를 원한다. 이때 신웅이 신령스러운 쑥 한 줌과 마늘 20개를 주며 말하기를, 너희가 이것을 먹고 백일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 형상이 될 것이라 한다.

이에 곰과 범이 이것을 받아먹고 삼칠일(21일) 동안 조심했다. 곰은 여자 몸으로 변하나 범은 금기를 지키지 못해 사람 몸이 되지 못한다. 웅녀(熊女)는 혼인하여 더불어 살 사람이 없자, 날마다 단수壇樹 밑 제단에서 아기 배기를 축원한다. 환웅이 잠시 거짓 변하여 그와 혼인했더니 이내 잉태해서 아들을 낳았다. 단군왕검檀君王儉이라 부른다. 당고唐高가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년(庚寅年, 요堯 즉위 원년元年은 무진戊辰년이다. 그러니 50년은 정사丁巳요, 경인庚寅은 아니다. 이것이 사실이 아닌지 의심스럽다)에 평양성(平壤城, 지금의 서경西京)에 도읍하여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부른다. 또 도읍을 백악산白岳山 아사달阿斯達로 옮긴다. 궁홀산(弓忽山, 일명 방홀산方忽山),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한다.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린다. 주(周)나라 호왕(虎王)이 즉위한 기묘己卯년에 기자箕子를 조선朝鮮에 봉했다. 이에 단군檀君은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돌아와서 아사달阿斯達에 숨어 살다 산신(山神)이 되니, 나이는 1908세이다. (이하 생략)"

장황하게 건국과정으로 너스레 떤 이유가 있다. 위기에 처하거나 어려움에 봉착하면 해법이 가까운 데, 기본에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야기나 8조금법, 우리 역사를 종합해보면 건국이념이 홍익인간弘益人間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 고유사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홍익인간은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는 것, 크게 더불어 행복한 세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모든 수단과 방법이 인류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인본주의 사상, 이타주의적 윤리관, 현세의 복지를 우선시하는 현세주의적 사고가 담겨있다.

사리사욕에만 충실하지 않았나? 이웃을 위해 무슨 일을 했는가? 더불어 행복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이나 해보았나? 인류 미래에 조금이라도 기여한 바가 있기나 한가? 오늘 우리의 모든 언행이 홍익인간에 어긋나지나 않는가?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