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나이퍼 sniper] 101화. 딸은 모르는 아버지의 바라지

  • 문화
  • 문예공론

[뉴스 스나이퍼 sniper] 101화. 딸은 모르는 아버지의 바라지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10-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조국 딸 서울대 지도교수 "신청 안 해도 나오는 장학금 있다"] 10월 7일자 중앙일보 뉴스다.

=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를 겸하고 있는 윤순진(52)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이사장이 서울대에 본인 신청이나 교수 추천이 없는 장학금이 있다며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됐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7일 조국 법무장관 딸 조민(28)씨가 환경대학원 입학 후 신청하지도 않았다는 장학금을 2학기 연속 받은 의혹과 관련해 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장에 증인으로 나왔다.

'조씨를 장학금 수여 대상으로 추천한 적 있느냐'는 정유섭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의에 윤 교수는 "장학금 선정 과정에 개입한 바가 없으며, 조씨를 추천한 적이 없어서 뭐라 할 말이 없다"고 답했다.



이어 "조씨가 입학하고 2학기 초부터 제가 지도교수였으나, (조씨는) 2학기 한 달 만에 휴학해서 제가 실질적으로 지도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또 "조국 장관을 2008년 처음 봤고, 지금까지 두 번 본적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의 딸이 2014년 환경대학원 입학 당시 면접관으로 배석한 것에 대해 "저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수들도 면접관으로 배석했다"며 "그 수험생이 조국 교수 딸인지 몰랐다"고 답했다.

이어 "조 장관은 민교협(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회원이지만 회의에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제가 조 장관과 함께 활동했다고도 말할 수 없다"고 했다.

'본인 신청 없이, 지도교수도 모르는 서울대 장학금이 존재 하느냐'는 정 의원의 질문에 윤 교수는 "그런 장학금도 있다"며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됐다"고 답했다. 이어 "제 아이는 서울대를 안 다녀서 모르지만, 저희 학과 소속 학생이 받은 바 있다고 해서 조사했더니, 그 친구도 자기가 신청한 적 없는데 (관악회) 전화 받고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고 말했다.(후략)" =

이 뉴스를 접하는 순간 과연 우리나라는 어디까지, 언제까지 부도덕과 불의, 그리고 파멸의 블랙홀로 달려갈 것인가에 방점이 찍혔다. 신청을 안 해도 나오는 장학금을 준다는 서울대는 그렇다면 화수분인가?

내 아이들도 서울대를 나왔지만 이런 얘긴 금시초문(今時初聞)이었다. 다들 알다시피 현 정권 들어 박살난 부분은 한두 곳이 아니다. 그중 대표적인 곳이 대학생들의 알바 자리다. 문재인 정부가 연속 최저시급을 올리면서 알바 학생들은 갈 길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그들은 잘 했다며 자화자찬(自畵自讚)에 더욱 공을 들이고 있다.

아이들이 대학을 다닐 때 나는 정말 힘들었다! 아들은 알바 자리를 구해 돈을 벌어 스스로 대학 등록금을 냈다. 하지만 딸은 달랐다. 서울대를 갔다며 주변사람들은 부러워했지만 나는 매달이 곤혹스럽기 그지없는 때문이었다.

서울대만 가면 장땡이 아니었다. 매달 생활비는? 비정규직의 세일즈맨으로 일하면서 마련해야 하는 딸의 생활비 송금은 그야말로 어깨에 짊어진 아버지의 무거운 멍에인 때문이었다. 한번은 딸에게 있는 돈 없는 돈까지 얹어 송금한 뒤 막상 집에 갈 버스비조차 없는 적도 있었다.

때는 염천더위 즈음이었는데 1시간 가까이 걸어서 어찌어찌 대전역까지는 왔다. 하나 기진맥진하여 도저히 한 발짝도 뗄 수 없었다. 대전역사 1층의 화장실 앞에 쭈그리고 앉아 3시간 가까이 비몽사몽으로 정말이지 저승 입구까지 구경하였다.

이러한 아버지의 바라지, 그러나 '당연한 의무'를 딸이 알아달라는 건 아니다. 딸은 그만큼 공부까지 잘 하여 대학원을 마칠 때까지 6년 동안이나 줄곧 장학금을 수령한 때문이다. 때문에 나는 딸에게 "절대로 알바를 하지 말라! 그 시간에 공부를 더 열심히 해서 장학금을 계속 받아라"고 강조했던 것이다.

여하튼 다른 건 차지하더라도 신청도 안 했는데 그야말로 '마구잡이'로 준다는 서울대 장학금의 용처(用處)는 과연 어디인가! 서울대 장학금은 재물이 계속 나오는 보물단지이며, 그 안에 온갖 물건을 담아 두면 끝없이 새끼를 쳐 그 내용물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설화상의 항아리를 뜻하는 '화수분'이란 말인가?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