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라이프]'일하는 실버'가 아름답다.

  • 사람들
  • 뉴스

[실버라이프]'일하는 실버'가 아름답다.

  • 승인 2019-10-23 18:07
  • 신문게재 2019-10-25 12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이길식 명예기자
오늘날 노인어르신들은 우리나라를 경제대국 반열에 올려놓은 주역이다.

과거 우리나라는 약소민족으로 수많은 외침(外侵)을 받았고 외환위기 때도 '금 모으기' 등 국민들이 하나같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신념에 찬 단합된 모습에다 지혜를 모아 슬기롭게 대처하고 묵묵히 일하며 경제대국에 기여했다.



한국의 노인어르신들은 오랜 유교적 가치관을 습득 하면서 살아온 세대이며 근대화 초기의 역군이다. 그들은 지금도 급변하는 사회에서 현장의 역군으로 일하면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남고 싶어 한다. 그렇다면 전관 예후를 요구하기보다 퇴직 후 신생(新生)의 심정으로 새 일자리에 임하는 프로의식도 필요하다.

한국이 고령화 사회에서 지금은 고령사회인 사실은 모두가 감지하면서도 더 어리고 더 새로운 자극을 찾는 추세는 멈추지 않을 듯싶다. 정보기술(IT) 선진국이라는 점에서도 한국은 젊은이들의 상상력과 최첨단의 아이디어를 찾으려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상은 많은 변화를 가져온 것 중 하나가 고령사회인데다 저 출산으로 인구감소가 됐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제는 젊은이의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어르신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눈여겨 볼만하다. 연륜서 우러나는 지혜를 활용해야 하는 당위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100세 장수시대를 맞아 퇴직 후 30여년의 세월을 무엇으로 어떻게 보낼지 고민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필자도 예외는 아니었다. 여기에 대전시도 장수시대를 맞아 통계에 따르면 100세 이상 어르신이 지난 9월말 현재 314명(남자 79명(21%).여자235명(79%)으로 나타난 가운데 어르신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예컨대 '인생 5고(苦)'다. 질병을 비롯해 빈곤과 무위 고독 죽음을 의미한다. 한 조사에 따르면 10명중 7명은 한 가지 이상 병을 달고 생활하며 무위(無爲)로 하루 종일 할 일 없이 빈곤으로 지내고 부부 중 한사람이 먼저 사별로 고독과 시름하다 죽음을 맞이한다. 여기에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대목은 과거보다 의료기술과 식생활 개선으로 과거보다 나이가 10년 이상 젊어져 일할 수 있는 능력인데도 연령이 높다는 이유로 취업에서 탈락되고 영세민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된다. 노인복지법상 65세 이상을 노인이라고 하지만 80세도 기력과 열정이 넘쳐나는 어르신도 부지기수다. 이를 위해선 정부와 지자체는 어르신에 걸 맞는 일자리 창출과 소일거리로 어르신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배려가 필수다. 특히 제2인생을 보람되고 값지게 보내도록 한국사회는 전문직 고령자뿐만이 아니라 일반 노인취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하루의 무의미한 시간에 일을 통하여 활기찬 제2의 인생을 영위한다면 금상첨화(錦上添花)다. 일을 통하여 건강이 곧 행복으로 이어지고 할 일없는 무위와 병고에서 탈피함으로서 사회적 비용이 저감되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에다 일하는 실버의 모습에 비유한 '아름다운 저녁노을은 봄에 핀 꽃보다 낫다'는 말과 같이'일하는 실버가 아름답다'.

이길식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