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불행을 막는 방법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불행을 막는 방법

  • 승인 2019-11-20 11:15
  • 신문게재 2019-11-21 22면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전뉴진
전유진 편집부 기자
어릴 적부터 걱정을 사서 하는 편이었다. 중학교 땐 공부도 어중간했고, 소심한 데다 친구도 적어 어떻게 세상에 적응할 수 있을지 막막했다. 수능이 해결책으로 다가왔다. 대학생이 되면 여러 사람들을 만나며 낯선 이들에게 말 거는 게 익숙해지고, 사랑하는 사람도 만나면서 즐거운 일들이 생겨날 거라고 믿었다.

막상 대학교에 입학하니 막연했던 걱정은 걷잡을 수 없는 불행으로 번졌다. 갑자기 주어진 자유에 무얼해야 할지 몰랐고, 예상외로 맞지 않았던 전공, 낮아진 학점으로 미래에 대한 갈피가 잡히지 않았다. 스쳐 지나간 인연들은 셀 수 없이 많았지만, 정작 마음을 나눌 만한 친구를 사귀기는 쉽지 않았다. 사랑할 사람을 만나는 일은 더더욱 아득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사색에 사색을 거듭해보니 인생은 고통의 바다였다. 정규직으로 번듯한 직장에 취업할 확률, 서울 한켠 어딘가 내 집을 마련할 확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결혼에 골인할 확률. 그래서 행복해질 확률은 0.00001%도 되지 않았다. 깨달음을 얻고 대학 시절 상당한 시간을 우울감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돈 벌면 나아지겠지, 친구들과 삼삼오오 이야기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역시나 취업해도 별다르게 나아진 사람은 없어 보인다. 행복은 영원히 오지 않을까. 행복해지는 무언가를 얻더라도 금새 일상이 되어버린다. 다행스럽게도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불행을 막는 법은 어느 정도 체득하게 됐다. '~하면' 나아질 것이라는 가정법에 힘을 적당히 주고 매순간을 즐기며 사는 삶이다. 물론, 요즘 같은 시대 말처럼 쉽진 않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도시국가의 몰락과 혼돈을 겪고 '아타락시아'를 논했는데 맥락이 같다.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행복이 금욕적인 쾌락에서 온다고 한다. 행복한 삶이란 즐거움의 총합이 큰 삶이다. 기대가 높으면 불행해지기 쉽다. 그는 물과 빵만 있으면 신도 부럽지 않다고 했다. 예를 들어, 햄버거가 맛있다고 매일 먹으면 물리니까 어쩌다 한번 먹음으로써 즐거움을 유지해야 한다.

결국 에피쿠로스가 추구하는 쾌락은 최근 유행어인 '소확행'과 비슷하다. 어쨌든 이 방법이 내게는 꽤나 유용하다. 거대한 목표에 행복을 몰빵하지 않고 충분히 이룰 수 있는 것 소소한 일에 분배하는 것. 요즘 나는 흘러 지나가버리는 행복감을 잊지 않기 위해 다이어리를 쓴다. 매일 좋아하는 것이나 조금이라도 즐거웠던 일을 기록한다. 1. 반려견 겨울이 발바닥 냄새 맡기 2. 일리 프란시스 Y3.2 화이트 3. 카페에서 독서하기 4. 진짬뽕 먹고 오뜨 치즈맛 2개 먹기 등등. 오늘 퇴근길도 편의점을 들려 침대에 뒹굴거리면서 까먹을 과자나 사와야겠다. 그래, 이 맛에 사는 거지. 전유진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