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전 대형유통업계-소상공인 상생행보 주목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올해 대전 대형유통업계-소상공인 상생행보 주목

백화점-전통시장 협업프로젝트 꾸준
산성뿌리전통시장에 노브랜드 입점
소상공인업계 주도적 참여 필요 주장도
"일회성 그치치 않고 꾸준한 상생" 강조

  • 승인 2019-12-02 16:25
  • 신문게재 2019-12-03 7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도마큰시장 협업
2일 한화 갤러리아타임월드 지하 2층 식품관에서 도마큰시장 판매 코너가 문을 열었다.
올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전의 대형 유통업계와 소상공인의 상생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일회성이 아니라 뿌리를 내리기 위해선 과거 대형 유통업계에 의존하던 방식을 탈피해 소상공인업계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한화 갤러리아타임월드와 서구 ‘도마큰시장’은 협업프로젝트로 ‘공동전시 판매코너’를 운영한다. 우수 상품의 판로 개척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취지로, 오는 15일까지 갤러리아 지하 2층 식품관에서 도마큰시장의 빈대떡, 옛날통닭, 젓갈 등 상품군을 선보인다.

갤러리아는 이번 협업프로젝트가 처음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전시와 도마큰시장, 갤러리아가 참여한 협약을 통해 이뤄졌고, 지난 1일 첫 시작으로 브랜드 매장과 견줄 매출을 자랑할 정도의 반응을 보였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롯데백화점 대전점은 2013년 전통시장과 협약 이후 꾸준히 협업 행보에 나서고 있다. 롯데는 서구 한민시장과 지난 7월 상생발전 협약을 체결해 '전통시장 상생 상품전'을 했다. 마찬가지로 전통시장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협약으로, 당시 한민시장 점포 일부가 백화점으로 들어서면서 상생협약이 이뤄졌다.

아예 전통시장 상권 내에 대형마트가 들어서면서 상생 효과를 내는 곳도 있다.

‘산성뿌리전통시장’에는 마트 노브랜드 '산성스토어' 11호점이 지난 10월 입점했다. 상인의 반대가 있었지만, 시장 상인들이 취급하는 과일과 야채 등 신선식품을 제외하고 가공식품과 생활용품만 판매하기로 하면서 본격적인 협업이 이뤄졌다.

중앙로 지하상가 역시 대형마트와 협약 채비에 분주하다. 지하상가 내 가장 큰 점포에 노브랜드가 입점할 수 있어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일까지 대전·충청지역 소상공인 24개 상품을 홈플러스 대전 둔산점 야외 행사장에서 판매하도록 하면서, 판매업체와 소상공인 간 상생의 장을 마련하기도 했다.

상인들도 긍정적 효과를 내다보고 있다.

상점가 관계자는 "상가 취급 상품과 크게 겹치지 않으면 고객유입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며 "젊은 가족 단위 등 고객층에 대한 변화 집중도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상생을 전제로 한 협약들이 나오고 있지만 일각에선 전통시장과 백화점,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등의 협업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는 우려가 있다. 사회적 가치 실현 차원이 아닌 유통업계 간 상생이 펼쳐져야 한다는 주장에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업계 간 협업 행사가 열리고 있는 만큼 내년엔 더 다양한 계획들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며 "보다 더 구체적인 협업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5.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4.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