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이 돌아온다...대학가 유학생 관리 '비상'

  • 사회/교육

유학생이 돌아온다...대학가 유학생 관리 '비상'

기숙사 격리 수용...개강 연기 불구 대학차원 한계..통제 불능 우려도

  • 승인 2020-02-16 12:17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내달 개강을 앞두고 7만여 명에 달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이 본격화되면서 지역 대학가가 유학생 관리에 애쓰고 있다.

각 대학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중국인 유학생들을 따로 기숙사에 격리 수용하며 자체 관리한다는 방침이지만 유학생들의 기숙사 수용을 강제하거나 관리·감독에도 한계가 있어 사실상 통제 불능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16일 대전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전 내 중국인 유학생(어학연수, 대학, 대학원, 기타 포함)은 총 3991명으로 이중 중국체류는 3016명, 국내 거주는 975명으로 내달 개강을 앞두고 이번주부터 유학생들의 입국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역 대학들은 교육부 권고에 따라 개강을 2주씩 연기해 내달 16일부터 신학기를 시작할 방침으로 유학생들이 국내에 입국하는 대로 별도의 기숙사에 이들 유학생들을 자체 격리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충남대는 중국인 유학생 650여 명 중 중국에 방문한 학생이 441명으로, 한국에 입국하는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숙사 특별 관리동에 별도로 관리할 계획이다.

한밭대도 중국인 유학생 96명 중 한국에 입국하는 유학생들은 구 학생생활관을 활용해 격리할 예정이다.

목원대도 재학중인 122명의 유학생 관리를 위해 기숙사 1개 관을 격리시설로 지정했다.

한남대, 대전대, 배재대 등도 기숙사에 유학생들 격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문제는 이렇게 개강을 앞두고 중국인 유학생들의 복귀가 시작됐지만 대학 차원의 격리 수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기숙사 방역은 물론, 수용기준 등도 대학 자체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데다 대학 자체적인 인력과 예산으로는 정부 수준의 방역을 기대하기 어렵다.

여기에 기숙사 격리 또한 강제성이 없어 유학생들이 거부할 경우 이들을 강제할 방안이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유학생은 이미 대학 인근에 자체 격리 상태로 기숙사 수용을 거부하고 있다.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는 "중국인 유학생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체격리하는 것에 유학생들 상당수가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데다가 이들을 강제적으로 수용할 방안도 뾰족히 없다"며 "수용기준이나 여부를 결정짓기가 쉽지 않아 정부 차원에서의 가이드라인과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공장 사망사고 기업대표, 항소심서 징역형 법정구속
  4.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5. 수업 중 휴대폰 등 스마트기기 사용 원칙적으로 제한… 초·중등교육법 개정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