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4. 이구동성(異口同聲)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4. 이구동성(異口同聲)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아름다운
사람은 날마다 새벽(먼동이 트려 할 무렵)을 맞는다. 새벽은 희망과 고통의 이중주다. 건강한 사람인 전자는 새벽이 아름답다. 오늘은 또 새로운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자 등의 후자는 어제보다 아픈 심신이기에 당연히 오늘 새벽 역시 절망스럽다.



'아름다운 만남, 새벽을 깨우다'는 인간개발연구원 창립 45주년을 맞아 여기에서 연을 맺은 각계각층의 기라성 같은 인사들의 기념에세이를 담은 책이다.

인간개발연구원 회장 장만기 외 59인이 공저했고 도서출판 행복에너지에서 발간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펴낸 책은 의도적이든 아니든 '일인칭 시점'(一人稱視點)으로 몰고 간다.



따라서 독자와는 상반된 주장과 얘기를 담고 있는 경우도 왕왕 있다. 반면 이 책은 60명의 집필자가 참여해서 자유롭게 썼다. 따라서 사상과 종교, 인생관까지 두루 담겨 있어 팔도강산 방방곡곡의 진수성찬을 맛보는 느낌이다.

뿐만 아니라 각자의 감성과 의견, 풍부한 경험을 담고 있기 때문에 교훈적 시대정신까지 오붓하여 서가에 두고 언제 읽어도 푸짐하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영웅호걸들은 부지기수다.

한데 그와 똑같이 지면 상 이 책을 집필한 불세출(不世出) 저자들의 서평을 모두 기술하긴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것처럼 몇 분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서평을 썼음에 혜량(惠諒)을 삼가 부탁드린다.

먼저, <내 꿈은 선생님, 제자의 꿈은 교수님>을 쓴 박애란 작가의 글에 눈이 쏙 빠졌다. 그 어려운 보릿고개와 야학시절까지 거쳐 마침내 선생님이 된 저자의 일대기는 그야말로 파란만장이었다.

헬렌 켈러에게 앤 설리번 선생님이라는 멘토가 있었듯 제자 Y에겐 박애란 선생님의 물심양면 후원이 있었다. 그러했기에 그녀는 결국 팔자까지 고쳐 외교관이 된 남편을 따라 세계 각국을 유람(?)하는 호사까지 누리고 있다.

새삼 저자의 진정 사람을 위하는 '천사표' 마음씨를 발견할 수 있어 흐뭇했다.

아울러 "좋은 만남이란 곧 유익한 만남을 뜻한다"고 쓴 정문호 저자의 <아름다운 만남>에도 호감의 방점을 찍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네 인생은 회자정리(會者定離)의 반복과 연속을 경험한다. 끝까지 '좋은 만남'으로 이어지길 원하지만 세상과 사람은 그렇지 아니한 게 차갑고 엄연한 현실이다. 이는 저자의 주장처럼 그 끝은 오로지 결과를 통해서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구맹주산과 본질가치>를 쓴 손창배 저자의 글 "국가의 경영에 있어 간신배가 있으면 어질고 선량한 선비나 신하가 모이지 않아 나라가 쇠약해지니 군주는 이를 경계하여야 한다."는 논지 역시 박수를 받아 마땅한 시대적 죽비소리에 다름 아니었다.

가난하여 수업료를 못 냈더니 시험 칠 자격이 없다고 쫓아내고, 졸업식 날에도 졸업앨범 값을 못 내서 졸업장을 안 준 선생님을 기억하는 김창송 저자의 글 역시 동병상련(同病相憐)으로 눈시울을 뜨겁게 만들었다.

사회갈등을 제대로 관리하고 다양성까지 흡수하여 역동적인 발전의 새로운 에너지로 승화하자는 가재산 저자의 <칡과 등나무> 또한 고개를 주억거리게 하는 동인(動因)으로 작용했다.

유한양행 창업주 유일한 박사님과 인간개발연구원 장만기 회장님을 존경한다는 <향기 나는 사람이 되자>의 권선복 저자 글처럼 따뜻한 삶을 실천하면 그 아름다운 모습은 반드시 젊은이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되는 법이다.

이 책의 저자님들 모두 그러한 교훈과 거울이 되는 분들이다. 최근 장만기 회장님의 건강이 안 좋으시다고 이 책 공저자(共著者)들이 걱정하며 이구동성(異口同聲) 쾌유를 비는 모습이 이 책에서 아름다움으로 물결쳤다.

야근을 마치고 귀가하던 오늘 아침 퇴근길, 버스정류장 곁의 목련이 꽃망울을 펼치려 기지개를 펴고 있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나라 전체가 난리임에도 봄은 오고 있음에 새삼 감사했다.

쑥은 봄꽃들과 함께 향긋한 봄의 전령사다. 3월의 쑥은 병을 치료하지만 4월의 쑥은 땔감으로만 쓸 수 있다. 약효가 좋은 이 3월의 쑥으로 치료제를 만들어 장만기 회장님께 드리고픈 마음이 파도처럼 출렁거렸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3.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