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다문화 전문가 기고] 부부의 세계란?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시다문화 전문가 기고] 부부의 세계란?

김혜영 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강의 전담교수, 대전시다함께돌봄원스톱통합지원센터센터장

  • 승인 2020-05-20 15:27
  • 신문게재 2020-05-21 9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전문가기고
부부 화목의 첫 걸음 '소통'



'둘(2)이 하나(1)된다'는 의미에서 정해진 5월 21일은 부부의 날이다. 부부의 날은 사랑의 셈법으로 둘이 한마음이 되어야 한다는 좋은 의미를 담은 날이지만 필자가 경험한 약 20여년의 결혼생활과 수많은 부부들을 상담 하면서 둘이 하나가 된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싶다. 부부는 일심동체(一心同體)가 아니라 이심이체(異心異體)이다. 일심동체라는 부부의 개념으로 인해 부부의 사이에 대한 허상을 만들어 서로를 속박할 수 있다.



요즘 가장 흥행이 되고 있는 드라마가 '부부의 세계'이다. 아내에 대한 열등감을 비윤리적인 불륜으로 표출해버린 남편과 어린 시절 불행한 가정사로 인해 완전한 가족상을 만들려 했던 아내의 이야기를 주축으로 다양한 얼굴의 부부를 조명한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를 보며 부부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해 생각해봤다. 복잡한 이유가 혼재되어 있지만 각각의 민낯을 감추고 부부가 일심동체인 듯 행복하고 평온한 가족의 모습으로 보여주기 위한 이중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한다. 만약 부부가 자신의 아픔과 열등감을 상대방에게 표현하여 서로 위로해주고 부족한 부분을 보듬어주며, 있는 그대로의 상대방을 존중했다면 가정이 파탄까지 가지 않았을 것이다.

각각 다른 환경에서 자라난 남녀가 한 가족을 이루어 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물며 다른 문화배경과 언어를 사용하며 살았던 남녀가 한 가정을 이루어 산다는 것은 더욱 더 어려운 일이다. 결혼이민자의 경우 연애의 기간이 짧고 바로 아이를 갖는 경우가 많아 배우자에 탐색할 여유가 부족하다. 건강한 부부가 되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하여 충분히 탐색하여 이해하는 기간이 필요하다.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취미는 무엇인지, 가치관이 어떠한지,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등을 충분히 탐색하여 상대방의 특성을 존중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또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 신뢰를 쌓아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일상적인 생활 대화부터 서로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깊이 있는 대화까지 나누어야 한다. 유려한 문장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서툴지만 소박하고 진실되게, 상대방이 나와 틀린(wrong) 존재가 아닌 다른(different) 존재임을 인정하여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상호 이해하는 소통을 해야 건강한 부부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한 번 요약하자면 행복한 부부생활을 위해 첫째, 서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하여야 한다. 둘째, 탐색을 통한 서로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여 수용해야 한다. 셋째, 신뢰를 쌓아 진실되게 자신을 표현해야 한다.

부부의 연은 하늘이 맺어준 것이라고 한다. 하늘이 맺어준 연의 열매를 거두는 일은 부부가 스스로 노력해서 아름다운 결실을 맺도록 해야 한다.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부터 서로에게 진심의 마음을 표현하도록 하자



김혜영 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강의 전담교수, 대전시다함께돌봄원스톱통합지원센터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서산국화축제장 주변 관람객들의 비상식적 행동에 주민 불만 표출
  3.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4.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1.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2.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3.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4.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5.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헤드라인 뉴스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지연으로 실질적인 관세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 수출기업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인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를 갖고 관세·안보 협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세부 합의 내용은 거의 마무리됐으며, 팩트시트는 2~3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팩트시트는 발표되지 않았고 25%의..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