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만순 작가 '골령골 기억전쟁' 출간… 피해자 유가족의 삶 최초 조명

  • 문화
  • 문화 일반

박만순 작가 '골령골 기억전쟁' 출간… 피해자 유가족의 삶 최초 조명

충북 민간학살담은 기억전쟁 이은 두번째 결실
유가족 50여명 인터뷰하며 외상후스트레스 경험
현장책임자 중위 실명과 최소 피해자 규모 밝혀
"상실된 인권유린 밝혀야 현대사 전진하는 것"

  • 승인 2020-06-10 16:22
  • 수정 2020-08-18 10:30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KakaoTalk_20200609_113113568
KakaoTalk_20200609_123306631
발로 쓰고 가슴으로 다시 쓴 한국전쟁 민간학살 유족들의 이야기를 담은 '골령골 기억전쟁(고두미)'이 출간됐다.

저자 박만순 작가는 한국전쟁 전후로 발생한 민간인 학살 진실 규명을 위해 햇수로만 18년째 충북과 대전, 전국을 누비고 있다. 그 첫 결실은 '기억전쟁'으로 충북 민간학살 피해자 2700명의 이름과 나이, 마을, 피해장소, 사건명을 직접 밝혀 담아낸 책이다.

'기억전쟁'에 이은 두 번째 결실은 '골령골 기억전쟁'인데 충북에서 대전으로 시선을 옮겨왔고, 레드컴플렉스(빨갱이)와 연좌제에 묶여 힘들게 살아온 피해자 유족들의 삶을 최초로 조명했다.

전화 인터뷰에 응한 박만순 작가는 "골령골의 기억전쟁을 쓰기 위해 유가족 50여 분을 만 1년 동안 인터뷰했다. 돌아가신 분들의 사연이나 당시의 기록도 중요하지만, 이번 책은 유가족으로 살아온 그분들의 삶에 주목했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나 조사과정은 예상하듯 수월치 않았다. 한 분 한 분의 사연이 무미건조하고 담담하게 들을 수 없는 이야기였던 터라, 작가는 인터뷰 내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박 작가는 "가장 어려웠던 건 피해의식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는 거다. 국가기관이 만들어져 명예회복은 됐지만, 대전형무소 학살사건, 제소자 자녀라는 레드콤플렉스가 크다. 가해자 처벌이나 과거사 폭로가 주가 아님에도 유가족들이 마음을 열어주지 않았다"고 전했다.

'골령골 기억전쟁'은 95% 팩트와 5%의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된 논픽션이다. 작가는 이 책이 진실규명을 위한 하나의 참고서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품고 있다.

박 작가는 "산내 골령골은 굵직한 사건의 흐름은 조사보고서에 나와 있지만, 많이 비어있는 부분은 가해자를 밝혀내지 못했다는 거다. 이 책에서는 현장책임자 헌병 중위 심용현의 실명을 밝혀냈고, 최소 피해자는 그동안 이야기됐던 1800명이 아닌 5000명가량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줄곧 동학농민운동으로 시작된 4·19와 광주민중항쟁 등 정권에 저항한 현대사 영웅에게만 주목했는지 모른다. 작가는 소중한 민중역사와 함께 소외되고 잊힌 민간학살 재조명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박만순 작가는 "민간학살은 아무리 강조하고 밝혀내도 지나침이 없다. 국가폭력에 의해 민주화운동을 했던 몇십 배의 사람들이 인권유린 당했다. 역사를 바꾸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아니지만, 인권유린의 피해자들을 재조명하고, 실종되고 상실된 인권을 제대로 밝혀주는 것이야말로 한국사가 나아가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작가의 세 번째 책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대한민국 전역에서 사회주의자, 민족주의자(보수주의자)들이 국가폭력으로 피해를 본 이야기를 준비해 또 한번 민간학살 진실규명에 나선다.

한편 박만순 작가는 오는 6월 27일 산내골령골 추모제에 참석해, 인터뷰에 응해준 유가족들에게 책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2.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3.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4.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5.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1.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2.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