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원 교수의 명리칼럼] 내가 왕이 될 운명인가?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신정원 교수의 명리칼럼] 내가 왕이 될 운명인가?

신정원/ 원광디지털대학 동양학과 교수

  • 승인 2020-06-30 16:03
  • 수정 2020-07-01 15:54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PCM20200516000047005_P2
어느 날 TV를 보다가 한 드라마에 눈길이 갔다. 그 제목이 흥미롭다. '바람과 구름과 비'.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조선 말, 가상이겠지만 철종과 대원군이 살았던 시기 역술가들이 등장하고 '命理'라는 도구로 새로운 나라와 집권 세력을 모아가는 과정이 묘사되고 있었다.

내가 강단에서 명리를 가르쳐서 그랬겠지만, 문득 몇 해 전 '관상'이라는 영화에서 '내가 왕이 될 상인가?'라는 대사가 떠오르면서, 그 질문과 '내가 왕이 될 팔자인가?'라는 일종의 운명적 질문을 교차시켜 본다. 드라마틱하려면 이런 질문도 할 수 있겠지만 보통사람들도 내가 합격할 운명인가? 올해 연인을 만날 운명인가? 사업에서 성공할 운명인가? 등, 얼마나 많은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며 그들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가진 사람은 가져서, 혹은 가진 것을 잃을까봐, 가진 것이 없는 사람은 원하는 것을 갖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한다. 사람들은 점술이 인간의 주체성을 저버린 행위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점술이 생겨난 까닭도 인간이 가진 당연한 불안과 세상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다.

고대 원시인들로부터 '내일은 비가 올 것인가'라는 소박한 질문을 하였고 그것은 한해 농사와 수확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물음이었고 일상이었다. 비와 천둥, 바람 심지어 개기일식이나 소행성 충돌과 같은 자연 현상은 바로 원시 점술의 주요 소재였다. 전쟁을 일으켜도 되는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지 등 당장의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질문이었던 것이다. 세상과 자신에 대한 궁금증과 자연 현상에 대한 경외에 가까운 호기심은 옛 사람들로 하여금 하늘을 바라보고, 기후의 변화를 기록하고 주변으로는 동식물과 지리적 현상을 가까이로는 자신의 몸을 관찰하게 만들었다.



그것이 고대 천문기상학과 지리학, 생물학과 물리학 등 원시 과학의 시초이다. 수많은 고대 발명품들이 이러한 시도에서 만들어졌다.

'바람과 구름과 비', 바로 고대로부터 모든 인류가 관심을 가졌던 자연 현상 중 하나이며 일종의 변화의 조짐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주역의 괘로는 수뢰둔(水雷屯) 즉 우레와 비의 움직임이 가득하여 세상이 어지러울 때 지도자를 세우고자 하는 모습이다. 괘의 아래에 우레가 움직임을 나타내고, 괘의 위에 비가 험난한 상을 나타낸다. 즉 험난한 가운데 움직이는 상이고 그 움직임이 크니 편안히 처할 수가 없다. 수레둔괘는 건괘와 곤괘의 뒤를 이어 천지간에 만물이 처음 교제를 시작한 혼돈의 상황을 나타낸다.

2019년도의 괘효를 뽑았을 때 둔괘 육이효(六二爻)의 승마반여(乘馬班如)가 나왔는데, 즉 말을 타고 가고자 하였는데 말에서 내려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었다.

또 이 괘의 육삼효(六三爻)에 즉록무우(卽鹿无虞)라 하였는데 사슴을 쫓다가 몰이꾼이 없어 숲으로 돌아가는 상황이다.

지난해 한반도 정상회담이나 싱가포르 회담 등을 지켜보면서 일이 성사되지 못하고 수포로 돌아가는 모습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둔괘의 괘효사를 생각해 보았다.

신정원 / 원광디지털대학 동양학과 교수

신정원 교수
신정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4.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5.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2.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3.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4.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5.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