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원 교수의 명리칼럼] 내가 왕이 될 운명인가?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신정원 교수의 명리칼럼] 내가 왕이 될 운명인가?

신정원/ 원광디지털대학 동양학과 교수

  • 승인 2020-06-30 16:03
  • 수정 2020-07-01 15:54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PCM20200516000047005_P2
어느 날 TV를 보다가 한 드라마에 눈길이 갔다. 그 제목이 흥미롭다. '바람과 구름과 비'.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조선 말, 가상이겠지만 철종과 대원군이 살았던 시기 역술가들이 등장하고 '命理'라는 도구로 새로운 나라와 집권 세력을 모아가는 과정이 묘사되고 있었다.

내가 강단에서 명리를 가르쳐서 그랬겠지만, 문득 몇 해 전 '관상'이라는 영화에서 '내가 왕이 될 상인가?'라는 대사가 떠오르면서, 그 질문과 '내가 왕이 될 팔자인가?'라는 일종의 운명적 질문을 교차시켜 본다. 드라마틱하려면 이런 질문도 할 수 있겠지만 보통사람들도 내가 합격할 운명인가? 올해 연인을 만날 운명인가? 사업에서 성공할 운명인가? 등, 얼마나 많은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며 그들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가진 사람은 가져서, 혹은 가진 것을 잃을까봐, 가진 것이 없는 사람은 원하는 것을 갖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한다. 사람들은 점술이 인간의 주체성을 저버린 행위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점술이 생겨난 까닭도 인간이 가진 당연한 불안과 세상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다.

고대 원시인들로부터 '내일은 비가 올 것인가'라는 소박한 질문을 하였고 그것은 한해 농사와 수확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물음이었고 일상이었다. 비와 천둥, 바람 심지어 개기일식이나 소행성 충돌과 같은 자연 현상은 바로 원시 점술의 주요 소재였다. 전쟁을 일으켜도 되는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지 등 당장의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질문이었던 것이다. 세상과 자신에 대한 궁금증과 자연 현상에 대한 경외에 가까운 호기심은 옛 사람들로 하여금 하늘을 바라보고, 기후의 변화를 기록하고 주변으로는 동식물과 지리적 현상을 가까이로는 자신의 몸을 관찰하게 만들었다.



그것이 고대 천문기상학과 지리학, 생물학과 물리학 등 원시 과학의 시초이다. 수많은 고대 발명품들이 이러한 시도에서 만들어졌다.

'바람과 구름과 비', 바로 고대로부터 모든 인류가 관심을 가졌던 자연 현상 중 하나이며 일종의 변화의 조짐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주역의 괘로는 수뢰둔(水雷屯) 즉 우레와 비의 움직임이 가득하여 세상이 어지러울 때 지도자를 세우고자 하는 모습이다. 괘의 아래에 우레가 움직임을 나타내고, 괘의 위에 비가 험난한 상을 나타낸다. 즉 험난한 가운데 움직이는 상이고 그 움직임이 크니 편안히 처할 수가 없다. 수레둔괘는 건괘와 곤괘의 뒤를 이어 천지간에 만물이 처음 교제를 시작한 혼돈의 상황을 나타낸다.

2019년도의 괘효를 뽑았을 때 둔괘 육이효(六二爻)의 승마반여(乘馬班如)가 나왔는데, 즉 말을 타고 가고자 하였는데 말에서 내려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었다.

또 이 괘의 육삼효(六三爻)에 즉록무우(卽鹿无虞)라 하였는데 사슴을 쫓다가 몰이꾼이 없어 숲으로 돌아가는 상황이다.

지난해 한반도 정상회담이나 싱가포르 회담 등을 지켜보면서 일이 성사되지 못하고 수포로 돌아가는 모습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둔괘의 괘효사를 생각해 보았다.

신정원 / 원광디지털대학 동양학과 교수

신정원 교수
신정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