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위원 칼럼] 부가가치세 신고는 홈택스로 하세요

  • 오피니언
  • 중도일보 독자위원회

[독자위원 칼럼] 부가가치세 신고는 홈택스로 하세요

김학선 영등포세무서장(전 대전지방국세청 조사2국장)

  • 승인 2020-07-01 14:25
  • 신문게재 2020-07-02 19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김학선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기 시작한 지 벌써 반년이 지났다. 우리나라는 의료진의 헌신적인 봉사,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철저한 방역조치 덕분에 방역 모범국가로 인정받고 있지만, 아직도 소규모 집단감염과 지역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감염병 예방수칙으로 마스크 착용, 손 씻기 생활화, 기침 예절 지키기가 가장 중요하며, 환기가 안 되는 밀폐(密閉)된 장소에서 많은 사람이 밀집(密集)해 1m 내에서 밀접(密接)하게 접촉하는 ‘3밀(密)’을 피하라고 강조하고 있다.

7월은 2020년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납부의 달이다. 일반과세 개인 사업자와 법인 사업자는 상반기 사업실적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7월 27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많은 납세자가 부가가치세 신고를 위해 세무서를 방문하는 7월은 세무서에서 최대한 사회적 거리를 두고 방문 민원인을 응대하는 조치를 취하더라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좋아하는 '3밀'의 환경이 조성될 우려가 크다.

국세청은 2002년부터 납세자가 세무서를 방문하지 않고 비대면(untact)으로 세무신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인 '홈택스(HomeTax)'를 개통해 운영하고 있다. 홈택스는 납세자가 사업장이나 집에서 인터넷(www.hometax.go.kr)을 이용해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법인세 등의 세금신고, 전자납부, 민원증명 발급, 현금영수증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이 가능한 종합세무행정서비스다.

국세청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납세자가 세무서에 오지 않고 편리하게 세금을 신고할 수 있도록 홈택스와 손택스(모바일 홈택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동영상을 보고 따라 하면서 전자신고를 할 수 있도록 '신고요령 동영상'을 제작해 국세청 누리집, 홈택스, 유튜브에 게시하는 등 양질의 비대면 세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국세청 보유 자료를 바로 조회·확인해 신용카드매출 등 부가가치세 신고서 주요항목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미리채움'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신고를 할 수 있으며, 신규개업과 업황부진 등으로 매출실적이 없는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ARS 신고시스템'과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더욱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다. 수동으로 신고서를 작성해 우편으로 부가가치세 신고서를 접수할 수도 있고, 부득이 신고를 위해 세무서 방문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급적 신고안내문에 표시된 날짜에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면 창구의 혼잡을 피해 신고를 마칠 수 있다.

세금 납부도 신고서 접수 이후에 출력할 수 있는 자진납부서에 기재된 국세계좌 또는 가상계좌로 이체하면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세금을 낼 수 있다. 특히, 국세계좌를 이용할 경우는 이체수수료가 없다.

스스로 홈택스를 이용해 전자신고를 할 수 있음에도 세무서 직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더 편하다고 생각해 세무서를 방문하는 납세자들이 있다. B.C(Before Christ), A.D(Anno Domini)가 이제는 ‘Before Corona, After Disease’를 의미한다는 신조어까지 생길 만큼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생활은 결코 같아질 수 없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진행되는 지금 제일 중요한 것은 우리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코로나19의 피해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마스크 착용과 생활 속 거리두기를 지켜야 한다.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도 언젠가는 지나가겠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일어난 변화 중 많은 부분이 앞으로 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국세청은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중에 세무서를 방문한 납세자가 신고창구에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세정현장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 걱정을 없애는 최선의 방법은 납세자들이 사업장과 가정에서 홈택스와 손택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자신고를 하거나, 세무사 등 세무대리인의 도움을 받아 신고해 세무서를 방문하지 않는 것이다.

/김학선 영등포세무서장(전 대전지방국세청 조사2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3.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1.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4.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5.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