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노와 구글 아트 앤 컬처’ 특별전… 대전 최초 화상 온라인 간담회

  • 문화
  • 문화 일반

‘이응노와 구글 아트 앤 컬처’ 특별전… 대전 최초 화상 온라인 간담회

이응노미술관-구글 아트 앤 컬처 협약 후 특별전
25개 작품 아트카메라로 초정밀 고화질로 업로드
오프라인과 함께 세계 어디서든 온라인 전시 감상
영국-대전-서울 잇는 첫 화상 간담회 이례적 시도

  • 승인 2020-07-14 17:26
  • 수정 2020-07-14 18:07
  • 신문게재 2020-07-15 5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이응노와 구글 아트 앤 컬처 포스터 최종
코로나19 사태로 대전 문화예술계 최초로 온라인 기자 간담회가 열려 화제다.

그것도 영국과 서울, 대전을 잇는 화상간담회 방식이다.

이응노미술관은 14일 오후 5시 특별전 '이응노와 구글 아트 앤 컬처' 간담회를 화상으로 진행했다. 

온라인 화상간담회를 시도한 건 지난해 이응노미술관과 구글 아트 앤 컬처가 파트너사로 협약을 맺은 후 열리는 특별전을 위해서다. 

화상 간담회는 영국에 있는 구글 아트 앤 컬처 프로그램 매니저인 지몬 레인과 류철하 이응노미술관장, 그리고 언론사 문화담당 기자들이 '구글 Meet'에 접속해 40여 분 동안 진행했다. 

구글 아트 앤 컬처는 80개국 2000개 파트너가 있고, 7000개 이상의 작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비영리 온라인 전시 플랫폼이다. 이응노미술관과는 지난해 협약을 맺고 고암의 역작 중 25개 작품을 선별해 아트 카메라로 초정밀 촬영을 마쳤다. 

구글이 개발한 아트 카메라는 10억 픽셀 이상의 초고화질 이미지다.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었던 고암 작품 속 실 한 올, 콜라주 종이의 질감, 눈이 담지 못했던 생생한 붓 터치, 세밀한 묘사까지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지몬 레인 매니저는 "아트 카메라를 작품 앞에 설치하면 카메라가 1㎝ 단위로 사진을 찍는다. 수 백 개, 수 천 개 고해상 이미지를 생산하는데, 다양한 재질과 표면, 반사작용을 담아낸 경험을 통해 그림의 세밀한 부분까지 볼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특별전은 이응노 화백의 작품을 구글 아트 앤 컬처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새롭게 감상할 수 있는 전시다. 오프라인 전시에 국한되지 않고 구글 아트 앤 컬처 웹사이트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세계 어디서든 온라인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 

이응노미술관은 온라인 전시와 함께 구글 아트 앤 컬처의 기술을 전시실 공간에 적용했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비주얼 미디어랩 연구원들의 자문을 받았다. 이응노 화백과 전 세계 작품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컬러 팔레트, 인공지능 AI 기술을 적용해 사진 속 인물과 닮은 명화 속 주인공을 찾아보는 아트셀피, AR로 실제 크기를 감상할 수 있는 아트 프로젝트, 어떤 사진이든 이응노의 작품 스타일로 변신해주는 아트 트랜스퍼를 체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전시도 이어간다. 온라인 전시는 구글 아트 앤 컬처와 연동되는 사이트로, 아트 카메라로 촬영한 대표작 25점과 함께 400여 작품을 공개한다. 이와 함께 이응노미술관을 설계한 로랑보두엥의 스케치 작업물을 최초로 공개하고, 삶과 작품, 추상 문자 시리즈 주역 64괘차서도 만날 수 있다. 

지몬 레인 구글 아트 앤 컬처 프로그램 매니저는 "나는 독일인으로 런던에 살고 있지만 이응노 화백에 대해 잘 몰랐다. 이번 콜라보를 통해 고암의 그림과 색감에 빠져 있다. 많은 작품 가운데 동방견문록 시리즈의 색감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류철하 이응노미술관장은 "이응노 화백의 삶과 예술세계에 관한 콘텐츠를 구글 아트 앤 컬처와의 협업으로 제작했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볼 수 있게 제공해 이응노 화백과 미술관을 세계에 알리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이응노, 동방견문록 시리즈, 1980, 한지에 수묵담채, 17x17cm
이응노, 동방견문록 시리즈, 1980, 한지에 수묵담채, 17x17cm
이응노, 군상, 1967, 청동, 32x16x12.5cm
이응노, 군상, 1967, 청동, 32x16x12.5cm
이응노, 구성, 1972, 태피스트리, 269x316cm
이응노, 구성, 1972, 태피스트리, 269x316c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