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산교회 활용 방안 공론화 첫 단추 꿸까?

  • 정치/행정

옛 성산교회 활용 방안 공론화 첫 단추 꿸까?

옛 성산교회 활용 추진위 기자회견서 숙의 절차 필요 주장
485명 서명 대전시에 전달함에 따라 공론화 여부 결론 예정

  • 승인 2020-08-06 16:15
  • 수정 2020-08-06 16:16
  • 신문게재 2020-08-07 4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성산교회11
대전시가 공원 조성 과정에서 매입해 철거할 예정인 중구 선화동 옛 성산교회 활용 방안에 대한 공론화가 첫 단추를 꿸지 관심이 모아진다.

길거리 카페 공간인 소이헌의 김소연 대표 등 '옛 성산교회 활용 추진위원회'는 6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옛 성산교회를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숙의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대전시가 공원 조성 이후 방치한 상태로, 10억원의 리모델링 예산을 세우고도 활용을 추진하지 않은 채 방치했다가 철거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런 민의 수렴 방식은 한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고, 시도 이런 민의 수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숙의민주주의 실현조례'를 제정했다"며 "건물 활용 방안을 위한 숙의를 제안한다"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485명의 서명부를 대전시에 전달했으며, 시는 동의 서명에 따라 옛 성산교회 활용방안에 대한 공론화 여부를 결정짓게 된다. 옛 성산교회와 관련한 공론화는 지난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당시 오광영(유성2·민주) 의원이 주장한 바 있으며 국비 등을 통해 대전 시민의 공동재산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한편, 성산교회는 2007년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건물면적이 1420㎡로 준공됐으나, 대전시가 인근에 양지 공원을 조성하면서 2015년 21억원에 매입했다.

대전시는 교회 건물을 어린이 도서관 등으로 활용하려 했으나, 일부 주민들은 공원 기능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건물을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주민 설문조사 결과 '철거' 의견이 84.7%로 나온 바 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3.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1.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2. ‘선배님들 수능 대박’
  3.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4.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