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톡]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수필 톡]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 승인 2020-08-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나는 시골에 있는 처가에 가서 아내의 단짝 동무(유영식)를 만났다. 아내와의 동행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마는 그렇지를 못했다. 내 곁에는 사랑하는 딸애와, 서울서 내려온 딸애 엄마의 친구, 또 옆엔 주인 없는 방석 하나가 있었으니 말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아내는 친정에 갈 때마다 어린 시절 친자매처럼 같이 크던 친구 얘기를 자주 하곤 했다. 그 친구는 서울로 시집을 갔으면서도 죽마고우의 우정을 잊지 못해서인지 아내와 자주 전화 연락도 하고 이따금씩 만나는 기회를 가졌다.



아내와 그 친구는 산촌에서 자랄 때에 남다른 추억들이 많아서인지 유별난 향수병에 젖어 있는 것 같았다. 그 둘은 진달래꽃 피는 고향을 그리며 자신들이 어렸을 때 봤던 꽃도 꺾고 수다도 떨며 하루 소일하다 오자고 했다.

그들은 수십 년 세월 속에서도 복숭아꽃 살구꽃 어우러진 밭둑길 논둑길에서 쑥도 뜯고 냉이도 캐던 그 시절을 잊지 못하는 것 같았다.



그런 마음 때문인지 두 사람은 벼르고 별러 진달래꽃 만발한 고향에 가서 옛날 정취에 빠져보자고 약속을 하는 것 같았다.

허나 아내는 그런 약속만 해 놓고서 세상 가장 먼 곳으로 가 버렸다.

세상 무슨 일이 그렇게 바빠서인지 발걸음을 재촉해서 가 버렸다.

어떤 약속이건 반드시 지키는 모나리자 미소의 여인이었는데, 친구와의 약속은 지키지 못하고 훌쩍 떠나버렸다. 애석하기 그지없는 일이었다.

약속을 대신 지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내가 대행(代行)이라도 하고 싶었다. 이래야만 하늘에 있는 아내가 친구한테 덜 미안할 것 같은 생각에서였다.

방도가 있다면 무엇이든지 다 동원하고 싶은 마음에서 나는 골똘히 생각했다.

보아하니 그 친구가 아내를 못 잊어하고, 떠나온 고향을 생각하는 향수의 정이 간절한 것 같아서, 대행(代行)으로 아내의 짐을 덜어주기로 결심했다.

마침 아내의 친구가, 옛날 살던 집이며 아내의 어머니인 장모님을 보고 싶어 한다기에 가족끼리 모이는 장모님 팔순 생신 식사 자리에 그 친구를 내가 초대를 했다.

그 바람에 만난 자리에서 아내의 친구는 한이 반, 한숨이 반인 목소리로,"필모와 진달래꽃 필 때 만나자 약속했는데…"하며 수습이 안 되는 눈시울을 붉히며 눈을 끔적이는 것이었다.

자매 같은 그 둘은 동심의 고향이 그리워서 따뜻한 봄 진달래 꽃필 때 고향에서 만나자고 약속했다는데 그 시간을 못 참고 갔다며 아내의 친구는 한이 어린 말로 젖어드는 물기를 표 안 나게 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나는 아내 친구의 눈을 공유하고 싶었는지 촉촉한 눈이 되어 그 친구 얘기를 더 들었다.

생전에, 아내는 친구들이 대전에 왔을 때, 자신이 점심을 사면서 하는 얘기가,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이 점심은 남선생이 너희들 대접 잘 하라고 해서 사는 점심이니 특별히 더 맛이 있을 거야 맛있게들 먹어."

아내는 자신이 점심을 사면서도 남편의 위상을 높여주는 얘기를 했다며 아내의 친구는 말을 잇지 못했다. 평범한 얘기 같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며 다음과 같이 또 말을 이었다.

"이런 사람이 친구(필모 : 아내 이름)였어요…."

" 그런 일이 있었군요."

새어나오는 눈의 액체를 닦으며 내가 응수로 던진 말이었다.

"친구지만 얘가 이렇게 교양 있고 남편 생각하는 마음이 끔찍했던 애요."

우리 클 때 보던 진달래꽃을 명년 봄에 가서 같이 보자 했는데 하며 촉촉이 젖은 눈으로 한 얘기였다.

내 보기에도 말 한 마디 행동거지 하나에서도 향이 있었던 여인임엔 틀림없었는데 이런 너스레가 칭찬인지 탄식인지 분간이 안 되는 것이었다.

순간 아껴서 숨겨두려 했던 그 액체가 본색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보통 여인들 같으면 수다 떠는 여인들과 합세하여 남편의 험담이나 시댁 식구들 헐뜯는 얘기로 시간 보내기가 일쑤인데 아내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았다.

아니, 남편의 낯을 세워 줄 정도 말 한 마디라도 예쁘게 하는 슬기를 가진 여인이었던 것이 분명한 것 같았다.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그 말을 듣는 순간, 살아온 길 힘들어도 늘 마음 편케 해 주었던 그 아내의 미소가 살아오는 것 같았다.

힘들고 지쳐 있을 때, 여보 힘내요! 우리가 있잖아요!

하던 그 아내의 다소곳한 목소리가 환청으로 편을 드는 것 같았다.

못난이라 그런지 이리 마음이 아프고, 다소곳한 모습까지 어른거리는지 모르겠다.

지불 대가로 볼 수 있는 임이라면 사정이라도 해서 100원어치 밀회라도 하고 싶었다.

노산 이은상님의 양장 시조가 별난 악기로 둔갑하여 날 울리고 있었다.

뵈오려 안 뵈는 임 눈감으니 보이시네.

감아야 보이신다면 소경되어 지이다.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남상선210-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1.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2.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3.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헤드라인 뉴스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잘 보고 와요~" "선배님들 화이팅" 2026학년도 수학능력시험 당일인 13일 오전 7시 20분 홍성고(충남교육청 제65지구 제1시험장) 앞은 후배들의 열띤 응원과 따뜻한 말 한마디가 오갔다. 수능 한파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춥지 않은 날씨 덕에 수험생들은 옷차림을 가벼웠지만 긴장한 탓인지 표정은 굳어있었다. 배웅에 나선 가족들은 자녀가 시험장에 들어가는 것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한동안 발을 떼지 못했다. 자녀를 수험장에 들여보낸 한 학부모는 "왜 제가 긴장되는지 모르겠다. 아이가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만큼 후회 없는 성과가 나왔..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대전지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경찰에 붙잡혔다. 뇌물을 건넨 임대사업자도 함께 구속됐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최근 대전지역의 한 주택재개발조합에서 사업권 낙찰 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조합장 A(70대)씨와 임대 사업체 대표 B(50대)씨 등 2명을 구속하고, 브로커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대전지역 주택 재개발 조합의 임대아파트 사업권 낙찰을 위해 뇌물을 수수하거나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임대사업자 A씨는..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