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톡]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수필 톡]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 승인 2020-08-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나는 시골에 있는 처가에 가서 아내의 단짝 동무(유영식)를 만났다. 아내와의 동행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마는 그렇지를 못했다. 내 곁에는 사랑하는 딸애와, 서울서 내려온 딸애 엄마의 친구, 또 옆엔 주인 없는 방석 하나가 있었으니 말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아내는 친정에 갈 때마다 어린 시절 친자매처럼 같이 크던 친구 얘기를 자주 하곤 했다. 그 친구는 서울로 시집을 갔으면서도 죽마고우의 우정을 잊지 못해서인지 아내와 자주 전화 연락도 하고 이따금씩 만나는 기회를 가졌다.



아내와 그 친구는 산촌에서 자랄 때에 남다른 추억들이 많아서인지 유별난 향수병에 젖어 있는 것 같았다. 그 둘은 진달래꽃 피는 고향을 그리며 자신들이 어렸을 때 봤던 꽃도 꺾고 수다도 떨며 하루 소일하다 오자고 했다.

그들은 수십 년 세월 속에서도 복숭아꽃 살구꽃 어우러진 밭둑길 논둑길에서 쑥도 뜯고 냉이도 캐던 그 시절을 잊지 못하는 것 같았다.



그런 마음 때문인지 두 사람은 벼르고 별러 진달래꽃 만발한 고향에 가서 옛날 정취에 빠져보자고 약속을 하는 것 같았다.

허나 아내는 그런 약속만 해 놓고서 세상 가장 먼 곳으로 가 버렸다.

세상 무슨 일이 그렇게 바빠서인지 발걸음을 재촉해서 가 버렸다.

어떤 약속이건 반드시 지키는 모나리자 미소의 여인이었는데, 친구와의 약속은 지키지 못하고 훌쩍 떠나버렸다. 애석하기 그지없는 일이었다.

약속을 대신 지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내가 대행(代行)이라도 하고 싶었다. 이래야만 하늘에 있는 아내가 친구한테 덜 미안할 것 같은 생각에서였다.

방도가 있다면 무엇이든지 다 동원하고 싶은 마음에서 나는 골똘히 생각했다.

보아하니 그 친구가 아내를 못 잊어하고, 떠나온 고향을 생각하는 향수의 정이 간절한 것 같아서, 대행(代行)으로 아내의 짐을 덜어주기로 결심했다.

마침 아내의 친구가, 옛날 살던 집이며 아내의 어머니인 장모님을 보고 싶어 한다기에 가족끼리 모이는 장모님 팔순 생신 식사 자리에 그 친구를 내가 초대를 했다.

그 바람에 만난 자리에서 아내의 친구는 한이 반, 한숨이 반인 목소리로,"필모와 진달래꽃 필 때 만나자 약속했는데…"하며 수습이 안 되는 눈시울을 붉히며 눈을 끔적이는 것이었다.

자매 같은 그 둘은 동심의 고향이 그리워서 따뜻한 봄 진달래 꽃필 때 고향에서 만나자고 약속했다는데 그 시간을 못 참고 갔다며 아내의 친구는 한이 어린 말로 젖어드는 물기를 표 안 나게 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나는 아내 친구의 눈을 공유하고 싶었는지 촉촉한 눈이 되어 그 친구 얘기를 더 들었다.

생전에, 아내는 친구들이 대전에 왔을 때, 자신이 점심을 사면서 하는 얘기가,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이 점심은 남선생이 너희들 대접 잘 하라고 해서 사는 점심이니 특별히 더 맛이 있을 거야 맛있게들 먹어."

아내는 자신이 점심을 사면서도 남편의 위상을 높여주는 얘기를 했다며 아내의 친구는 말을 잇지 못했다. 평범한 얘기 같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며 다음과 같이 또 말을 이었다.

"이런 사람이 친구(필모 : 아내 이름)였어요…."

" 그런 일이 있었군요."

새어나오는 눈의 액체를 닦으며 내가 응수로 던진 말이었다.

"친구지만 얘가 이렇게 교양 있고 남편 생각하는 마음이 끔찍했던 애요."

우리 클 때 보던 진달래꽃을 명년 봄에 가서 같이 보자 했는데 하며 촉촉이 젖은 눈으로 한 얘기였다.

내 보기에도 말 한 마디 행동거지 하나에서도 향이 있었던 여인임엔 틀림없었는데 이런 너스레가 칭찬인지 탄식인지 분간이 안 되는 것이었다.

순간 아껴서 숨겨두려 했던 그 액체가 본색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보통 여인들 같으면 수다 떠는 여인들과 합세하여 남편의 험담이나 시댁 식구들 헐뜯는 얘기로 시간 보내기가 일쑤인데 아내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았다.

아니, 남편의 낯을 세워 줄 정도 말 한 마디라도 예쁘게 하는 슬기를 가진 여인이었던 것이 분명한 것 같았다.

"이건 남선생이 사는 밥이야."

그 말을 듣는 순간, 살아온 길 힘들어도 늘 마음 편케 해 주었던 그 아내의 미소가 살아오는 것 같았다.

힘들고 지쳐 있을 때, 여보 힘내요! 우리가 있잖아요!

하던 그 아내의 다소곳한 목소리가 환청으로 편을 드는 것 같았다.

못난이라 그런지 이리 마음이 아프고, 다소곳한 모습까지 어른거리는지 모르겠다.

지불 대가로 볼 수 있는 임이라면 사정이라도 해서 100원어치 밀회라도 하고 싶었다.

노산 이은상님의 양장 시조가 별난 악기로 둔갑하여 날 울리고 있었다.

뵈오려 안 뵈는 임 눈감으니 보이시네.

감아야 보이신다면 소경되어 지이다.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남상선210-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3.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4.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5.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1.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2.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3.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4. 취약계층 지역주민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행사
  5. 위기상황 미혼한부모 가정 위한 통합지원금 기탁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와 당진시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당진항 일원에 대한민국 자동차 수출을 이끌어갈 최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조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민선8기 도가 중점 추진 중인 '베이밸리 건설'과 '당진항 수출 전진기지 육성' 전략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이정환 SK 렌터카 대표이사 등과 '케이(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국 처음으로 자동차산업과 항만물류를 결합시킨 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는 당진..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