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음악, 고난 속에서 희망을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음악, 고난 속에서 희망을

안성혁 작곡가

  • 승인 2020-09-07 14:50
  • 신문게재 2020-09-08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안성혁 작곡가
안성혁 작곡가
어려운 시기다. 코로나로 인해 사회거리두기 2 또는 2.5가 되었다. 거리에 인적이 드물다. 많은 시설과 공공장소가 비어있거나 폐쇄되었다. 이런 삭막해진 삶 속에서 우리는 그 어느 때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로인해 대중교통 수단 안에서 마스크 착용 시비로 인한 폭력사건이 일어나곤 했다. 또 많은 이들이 일상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 시기 필자는 음악이 여러분들에게 위로와 힘이 된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우선 공자와 자공의 대화를 소개한다. 자공이 물었다. "나라를 이루는 것이 무엇입니까?" 공자는 "국가를 이루기 위해선 '식(食)·병(兵)·신(信)'있어야 한다"라고 답했다. 자공이 다시 질문 한다. 그렇다면 "이 셋 중 버려야 한다면 무엇을 먼저 버려야합니까?" "'병(兵)'을 먼저 버린다" 그리고 다음을 묻자. '식(食)'이라고 했으며 마지막 까지 갖고 있어야할 것은 '신(信)'이라고 했다. 먹는 것은 사람이 생존을 위한 기본 조건이다. 그런데 먹을 것이 있고 상호 신뢰가 없다면 그 것은 싸움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신이 있다면 그것을 나눌 수 있게 된다. 신은 눈앞의 이익을 뛰어 넘는 가치가 있다. 음악 또한 그러한 가치가 있다.



우리는 예술을 사치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배고픈데 무슨 예술이냐?"라는 얘기를 종종 하곤 한다. 정말 그럴까? 예술은 아니 더 구체적으로 음악은 경제적 어려움이나 생존의 위기 속에서 위로와 희망이 되어왔다. 우리의 역사는 위태로운 시기가 많았고 가난한 시절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런데 우리민족은 그 어려움 속에서도 노래를 잃지 않았다. 민요를 통해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위기를 극복했다. 대표적으로 아리랑이다. 각 지방마다 그 곳만의 삶을 담은 고유의 아리랑이 있다. 이렇게 우리는 삶 속에서 노래를 부르며 정서를 순화하며 어려움을 극복해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곡 시편 23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라는 가곡은 전쟁 속에서 태어났다. 6·25 동란 1953년 피난민들이 부산에 모였다. 모두가 하루하루가 불안했던 때다. 이 시기 나운영 선생은 시편 23편을 작곡하였다. 그가 몸담고 있던 서회에서 그의 반주와 부인인 성악가 유경손 여사의 노래로 초연하였다.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내용의 이 곡은 이내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감동을 주었고 그 어려운 시기에 위로와 힘이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한국인들이 사랑하고 즐겨 부르는 가곡이 되었다.



세계 2차 대전 프랑스의 작곡가 메시앙은 나치의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한시 앞을 가눌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작곡을 하였다. 그는 전쟁의 끔직 함을 음악 속에 그대로 표현 하였다. 바로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 (Quatuor pour la fin du Temps)'라는 곡이었으며 1941년 1월 15일 전쟁 포로들 앞에서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 초연되었다. 이 후 이곡은 세계적으로 알려져 듣는 이들을 숙연하게 하였다. 이 음악은 이해하기가 어려운 음악에 속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아름다운 음악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체험이 녹아 있기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감동을 받는다.

베토벤은 귀가 안 들린다는 음악가로서는 치명적인 위기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많은 걸작을 작곡하였다. 그는 음악을 통해 위로와 용기를 얻었고 또 이를 우리에게 전해주었다. 이러한 그의 삶과 음악을 통해 우리는 용기를 얻는다.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이 대표적인 예다. 그의 환희의 합창은 역경속의 우리에게 힘을 내 극복하고 환희의 세계로 오라고 외치고 있다.

전쟁 속에서 조차 음악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었다. 지금 잠시 우리는 코로나 19로 인해서 위기를 격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성숙한 민주정신과 시민의식으로 잘 극복해가고 있다. 이 시기를 같이 격고 있는 우리 곁의 음악가들은 이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고자 음악회를 준비하며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다. 그들의 음악을 통해 위로와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 어렵지만 조금 더 힘을 내자. 코로나 19 "이 또한 지나가리니"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