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대학 창업 현황 '천차만별'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청권 대학 창업 현황 '천차만별'

한남대 학생 창업자수 42명 전국 상위권 반면, 대전대, 목원대 각각 1명으로 대조
창업 기업 매출액도 큰 차이보여

  • 승인 2020-11-15 12:28
  • 수정 2021-05-06 08:35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GettyImages-jv11929749
/게티이미지뱅크
청년 창업을 권장하는 정부 정책에도 불구, 지역대의 창업 창업 현황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해 높은 성과를 낸 학교가 있는 반면, 인프라를 갖췄음에도 뚜렷한 결실을 맺지 못한 곳도 있었다.



15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0년 학생의 창업 및 창업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전지역 주요 대학 중 학생 창업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한남대로, 42명이 집계됐다. 우송대가 11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한밭대 11명, 충남대 10명, 배재대 6명, 대전대 1명, 목원대 1명을 기록했다.

창업기업 매출액 역시 한남대가 4억 3085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우송대 3억 5704만 원, 한밭대 8242만 원, 충남대 4500만 원 목원대 262만 원 순이었다. 배재대와 대전대는 0원으로 조사됐다.

대학들이 창업에 지원하는 교비 지원 금액도 큰 차이를 보였다.

한남대가 2억 73만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충남대 1억 1390만 원, 대전대 3270만 원, 한밭대 2972만 원, 목원대 2434만 원, 배재대 1269만 원, 우송대 1241만 원 순이다.

창업자 수와 매출액 모두 가장 많았던 한남대의 경우 학생 창업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등으로 전국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 같은 결과는 그동안 창업 공간 제공은 물론 컨설팅·행정 등을 도울 창업 전담인력을 두는 등 창업에 든든한 뒷받침을 해왔기 때문이라는 게 한남대측의 설명이다.

반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일부 대학의 경우 학생들이 창업지원 자부담 등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발판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학 한 관계자는 "학생과 학부 중심으로 창업 지원이 이뤄지기 때문에 학생창업 대부분 초기 창업기업으로 매출실적은 크지 않은 것"이라며 "대학마다 창업 교육 시스템 제공, 학생들에게 재정 지원, 창업 캠프 개최 등 창업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남대 관계자는 "창업지원단 내에 창업교육본부를 설치해 다양한 창업 교육을 지원하는 등 창업과 관련된 전문 교육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창업 인프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창업 유관부서들의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뤄진 결과"라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