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아픔과 성찰이 담긴 이인상의 검선도(劍仙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아픔과 성찰이 담긴 이인상의 검선도(劍仙圖)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1-2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다 아는 바와 같이, 우리 조선 시대에는 신분 차별이 극심했다. 신분제는 정권 유지와 사대부 및 양반 위상 강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해하기 어려운 하나는 서얼에 대한 차별이다. 서얼은 사족(士族) 혈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사족 아버지에, 어머니가 첩이거나 미천한 신분인 경우를 말한다. 축첩도 임신도 남자 스스로 한 일 아닌가? 자신이 만든 가시관을 자식에게 씌운다. 참 생뚱맞다 아니 할 수 없다.

서얼은 초시조차 보지 못하게 하는 등 관직 등용 금지가 법제화되기도 하고, 재산상속, 봉작, 제사 등 매사에 차별이 있었다. 제한된 품계로 등용하자는 한품서용(限品敍用), 일정 돈을 내면 신분이 바뀌는 서얼허통(庶孼許通) 등 조선 시대 내내 논의가 지속된다. 허통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18세기 말에는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서얼 출신이 벼슬도 하고 이름도 얻는다. 갑오경장 이후 서얼 출신이 대거 고위직에 진출한다. 적서 논쟁이 끝난 것일까? 비로소 서얼 차별이 거의 사라진 것이다. 제도가 바뀌어도 집단의식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암암리에 피해자가 된다. 문화의 속성이다. 마을에 혼담이 오갈 때면 서얼 이야기도 함께 오갔던 기억이다.



이런 신분 갈등은 고전의 주요 소재나 주제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군담소설 '박씨전'은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을 영웅으로 등장시킨다. '홍길동전'에서는 서얼 출신 홍길동이 호부호형(呼父呼兄)조차 하지 못하는 차별에 가출을 결심한다. 신분을 타파하고 사랑에 성공하는 해피엔딩 '춘향전'의 춘향 어머니 월매는 기생이었다.

서얼, 자신의 선택과 무관한 굴레가 얼마나 황당했으랴. 같은 인간으로 모름지기 자신만 쓰일 장처가 없다니 얼마나 분했으랴? 형벌일까, 삭일 수 없는 고통을 인내해야 하는 심상은 얼마나 깊었으랴? 냉대와 폄하, 가족과 이웃이 있으면서도 세상에서 버려진 것 같은 천애고아(天涯孤?) 처지를 얼마나 성찰했으랴?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는 가슴앓이는 누가 알아주겠는가?



이인상(李麟祥, 1710 ~ 1760, 문인화가)은 3대에 걸쳐 대제학을 낳은 명문 후손이다. 1735년(영조11)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증조부가 서자였던 탓에 본과에 응하지 못한다. 서출이지만 시문과 학식이 뛰어나 문사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다. 서화에 모두 뛰어나 후학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서체를 활용한 필법이 특기였으며, 그림 스승은 명확하지 않고, '개자원화전'에서 화법을 터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조와 강개한 성격이 그대로 투영, 담백하고 투명한 색감으로 멋과 단아함을 만들어낸다. 현감, 찰방 등 벼슬을 하긴 하였으나 늘 가슴앓이로 시달린다. 불의와 타협하지 못하고 탐관오리의 부정을 참지 못하는 강직함 때문에 관찰사와 다투다 벼슬을 떠난다. 단양에 은거하며 시서화로 여생을 보낸다.

ㅎㅎㅎㅎ
이인상, <검선도(劍仙圖)>1654년 이후, 종이에 담채, 96.7×6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림은 이인상 작 '검선도(劍仙圖)'이다. "중국인이 그린 검선도를 방작(倣作)한 이 그림을 취설 옹에게 바친다. 종강의 비오는 날에 그리다(倣華人劒僊圖奉贈醉雪翁?鐘崗雨中作)"라는 이인상의 관지가 쓰여 있다. 서울대 장진성 교수에 의하면 취설(醉雪)은 유후(柳逅, 1690~?)를 지칭한다. 종강모루가 1754(영조 30)년에 이인상이 축조한 조그만 정자여서, 그림은 40대 후반에 그린 것으로 본다. 검선은 도교 8선의 하나인 당나라 신선 여동빈(呂洞賓)으로 추정한다. 마법의 칼과 채찍을 들고 있는 학자로 묘사된다. 유후 역시 서얼이었으나, 눈처럼 흰 수염에 붉은 얼굴로 걸어 다니는 신선이라 불렸으며, 고결하게 산 것으로 회자된다.

등나무로 보이는 넝쿨이 타고 오른 노송과 비스듬한 또 한 그루 소나무가 있다. 그 앞에 긴 수염 휘날리며 검선이 정면을 물끄러미 응시하고 있다. 옆에는 뽑다가 만 검이 노송 등걸에 기대어 있다. 장송은 도덕, 절개, 정의를 상징하지 않는가? 검은 냉혹한 양면성으로 엄단의 상징이다. 보는 이에 다르겠지만, 장진성 교수는 은일자(隱逸者)의 고고한 기상, 무욕(無慾)의 경지, 불의에 맞서고자 했던 고결하고 올곧은 정신, 세상의 온갖 타락과 오염에 물들지 않으려고 했던 결연한 의지를 그림 속에 투영하고자 했다고 한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얼마나 많았으랴. '서얼에 의한, 서얼을 위한, 서얼에 관한' 그림이란 주장이다.

예술 분야 중 소리가 가장 추상적이라 한다. 추상적일수록 감동과 확장성이 크다. 그림도 문학도 마찬가지다. 언어나 몸짓으로 표현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러기에 공유 가능한 추상성을 부단히 추구하는 것이다. 암시와 상징도 추상성의 하나이다. 이인상은 모호성, 암시성을 그림에 활용한다.

편 가르기, 차별, 붕당은 분명 시대착오적 행태이다. 프레임을 씌우는 것 또한, 거짓과 차별화의 백미 아일까? 차별은 개인만 아프게 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를 국가를 역사를 아프게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