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아픔과 성찰이 담긴 이인상의 검선도(劍仙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아픔과 성찰이 담긴 이인상의 검선도(劍仙圖)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1-2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다 아는 바와 같이, 우리 조선 시대에는 신분 차별이 극심했다. 신분제는 정권 유지와 사대부 및 양반 위상 강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해하기 어려운 하나는 서얼에 대한 차별이다. 서얼은 사족(士族) 혈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사족 아버지에, 어머니가 첩이거나 미천한 신분인 경우를 말한다. 축첩도 임신도 남자 스스로 한 일 아닌가? 자신이 만든 가시관을 자식에게 씌운다. 참 생뚱맞다 아니 할 수 없다.

서얼은 초시조차 보지 못하게 하는 등 관직 등용 금지가 법제화되기도 하고, 재산상속, 봉작, 제사 등 매사에 차별이 있었다. 제한된 품계로 등용하자는 한품서용(限品敍用), 일정 돈을 내면 신분이 바뀌는 서얼허통(庶孼許通) 등 조선 시대 내내 논의가 지속된다. 허통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18세기 말에는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서얼 출신이 벼슬도 하고 이름도 얻는다. 갑오경장 이후 서얼 출신이 대거 고위직에 진출한다. 적서 논쟁이 끝난 것일까? 비로소 서얼 차별이 거의 사라진 것이다. 제도가 바뀌어도 집단의식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암암리에 피해자가 된다. 문화의 속성이다. 마을에 혼담이 오갈 때면 서얼 이야기도 함께 오갔던 기억이다.



이런 신분 갈등은 고전의 주요 소재나 주제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군담소설 '박씨전'은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을 영웅으로 등장시킨다. '홍길동전'에서는 서얼 출신 홍길동이 호부호형(呼父呼兄)조차 하지 못하는 차별에 가출을 결심한다. 신분을 타파하고 사랑에 성공하는 해피엔딩 '춘향전'의 춘향 어머니 월매는 기생이었다.

서얼, 자신의 선택과 무관한 굴레가 얼마나 황당했으랴. 같은 인간으로 모름지기 자신만 쓰일 장처가 없다니 얼마나 분했으랴? 형벌일까, 삭일 수 없는 고통을 인내해야 하는 심상은 얼마나 깊었으랴? 냉대와 폄하, 가족과 이웃이 있으면서도 세상에서 버려진 것 같은 천애고아(天涯孤?) 처지를 얼마나 성찰했으랴?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는 가슴앓이는 누가 알아주겠는가?



이인상(李麟祥, 1710 ~ 1760, 문인화가)은 3대에 걸쳐 대제학을 낳은 명문 후손이다. 1735년(영조11)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증조부가 서자였던 탓에 본과에 응하지 못한다. 서출이지만 시문과 학식이 뛰어나 문사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다. 서화에 모두 뛰어나 후학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서체를 활용한 필법이 특기였으며, 그림 스승은 명확하지 않고, '개자원화전'에서 화법을 터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조와 강개한 성격이 그대로 투영, 담백하고 투명한 색감으로 멋과 단아함을 만들어낸다. 현감, 찰방 등 벼슬을 하긴 하였으나 늘 가슴앓이로 시달린다. 불의와 타협하지 못하고 탐관오리의 부정을 참지 못하는 강직함 때문에 관찰사와 다투다 벼슬을 떠난다. 단양에 은거하며 시서화로 여생을 보낸다.

ㅎㅎㅎㅎ
이인상, <검선도(劍仙圖)>1654년 이후, 종이에 담채, 96.7×6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림은 이인상 작 '검선도(劍仙圖)'이다. "중국인이 그린 검선도를 방작(倣作)한 이 그림을 취설 옹에게 바친다. 종강의 비오는 날에 그리다(倣華人劒僊圖奉贈醉雪翁?鐘崗雨中作)"라는 이인상의 관지가 쓰여 있다. 서울대 장진성 교수에 의하면 취설(醉雪)은 유후(柳逅, 1690~?)를 지칭한다. 종강모루가 1754(영조 30)년에 이인상이 축조한 조그만 정자여서, 그림은 40대 후반에 그린 것으로 본다. 검선은 도교 8선의 하나인 당나라 신선 여동빈(呂洞賓)으로 추정한다. 마법의 칼과 채찍을 들고 있는 학자로 묘사된다. 유후 역시 서얼이었으나, 눈처럼 흰 수염에 붉은 얼굴로 걸어 다니는 신선이라 불렸으며, 고결하게 산 것으로 회자된다.

등나무로 보이는 넝쿨이 타고 오른 노송과 비스듬한 또 한 그루 소나무가 있다. 그 앞에 긴 수염 휘날리며 검선이 정면을 물끄러미 응시하고 있다. 옆에는 뽑다가 만 검이 노송 등걸에 기대어 있다. 장송은 도덕, 절개, 정의를 상징하지 않는가? 검은 냉혹한 양면성으로 엄단의 상징이다. 보는 이에 다르겠지만, 장진성 교수는 은일자(隱逸者)의 고고한 기상, 무욕(無慾)의 경지, 불의에 맞서고자 했던 고결하고 올곧은 정신, 세상의 온갖 타락과 오염에 물들지 않으려고 했던 결연한 의지를 그림 속에 투영하고자 했다고 한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얼마나 많았으랴. '서얼에 의한, 서얼을 위한, 서얼에 관한' 그림이란 주장이다.

예술 분야 중 소리가 가장 추상적이라 한다. 추상적일수록 감동과 확장성이 크다. 그림도 문학도 마찬가지다. 언어나 몸짓으로 표현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러기에 공유 가능한 추상성을 부단히 추구하는 것이다. 암시와 상징도 추상성의 하나이다. 이인상은 모호성, 암시성을 그림에 활용한다.

편 가르기, 차별, 붕당은 분명 시대착오적 행태이다. 프레임을 씌우는 것 또한, 거짓과 차별화의 백미 아일까? 차별은 개인만 아프게 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를 국가를 역사를 아프게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2.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3.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4. 김태흠 “6.25 참전유공자 희생·헌신 잊지 않을 것”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아니 갑자기 이렇게? 10번 문제에 우수수 탈락
  1.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즐겁게 퀴즈풀며 안전상식 배웠다… 2025 예산군 어린이 안전골든벨 '성료'
  2. 충남도, 내년 국비 확보 총력… 김태흠 지사 국회 방문
  3.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최형규 예산군 산업건설국장 "안전상식 배우고 실천해주길"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아이들 행복의 기초는 안전"
  5.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