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래] 푸른하늘의 '겨울바다'

  • 문화
  • 문화 일반

[나의 노래] 푸른하늘의 '겨울바다'

  • 승인 2020-11-23 10:31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a10428740
게티이미지 제공
언제 들어도 좋은 노래, 언제 들어도 설레는 노래. 푸른하늘의 '겨울바다'. 겨울이 온다. 쨍하는 추위가 코끝을 시리게 한다. 월요일 아침, 중무장을 하고 출근길에 나섰다. 세탁해서 고이 모셔둔 어그 부츠를 꺼냈다. 패딩 점퍼도 꺼내 먼지를 툭툭 털어냈다. 어둠이 가시지 않은 동쪽 하늘엔 구름이 꿈틀거렸다. 구름 사이로 붉은 기가 감돌았다. 해가 떠오르려면 아직 멀었다. 잠시 초겨울 새벽 풍경에 넋을 놓고 바라봤다. 겨울바다에 가고 싶다. 코로나가 우리 앞에 떡 하니 버티고 있는 지금, 어디에도 갈 수 없다. 올 한해 제대로 여행을 떠나본 적이 없으니. 차가 없으니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다. 파도가 일렁이는 강릉 경포대 바다는 잘 있나. 이빨을 드러내고 으르렁거리는 파도소리가 그립다. 처얼썩 척 쏴아~. 집어삼킬 듯한 바다 저 멀리 망망대해 앞에서 나의 존재를 증명할 필요는 없다. 그저 무심히 바라만 보면 된다. 그것이 바다와 나의 대화다. 뭔 말이 필요한가.

'겨울바다'는 유영석이 고등학교 때 작곡했다고 한다. 노랫말도 유영석이 지었다. 천재 아닐까. '겨울바다로 가자 메워진 가슴을 열어보자 스치는 바람 불면 너의 슬픔 같이 하자 너에게 있던 모든 괴로움들은 파도에 던져버려 잊어버리고...' 이 노래를 대학 졸업하고 사회 초년생일 때 수없이 들었다. 당시 대학 후배랑 허구한 날 붙어다녔다. 퇴근하고 영화보고 감자탕 먹고 거리를 싸돌아다녔다. 밤 늦게 후배 자취집에 들어가 또 먹고 음악 듣고.... 후배와 누워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겨울바다'를 들으며 겨울바다를 꿈꾸며 낭만에 취한 날들이었다. 파도가 쏴아 밀려오는 소리와 함께 전주곡이 흐른다. 어찌나 가슴이 벌렁거리던지. 불안하고 설레고, 방황의 청춘기의 몸살을 우리는 열병처럼 끙끙 앓았다. '끝없이 멀리 보이는 수평선까지 넘치는 기쁨을 안고'.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1.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2.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3.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금은방 새벽 침입했지만, 금고는 못열어…절도미수 40대 징역형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