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고용한파 지속...10월 실업급여액 65억 증가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고용한파 지속...10월 실업급여액 65억 증가

  • 승인 2020-12-02 18:01
  • 수정 2021-05-14 10:04
  • 신문게재 2020-12-03 6면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0051301001007700041651
코로나19로 인한 경기불황이 장기화 되면서 지역 고용 상황이 날로 악화 되고 있다. 끝 모를 고용 한파 속 실업급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근로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대전지방고용노동청과 한국고용정보원 EIS 고용행정통계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대전 실업률은 2.7%로 2만 2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지역 실업급여 지급액은 전년 동월 대비 204억 7900여만 원에서 269억 9500여만 원으로 65억 1600만 원 증가했으며 지급 건수도 1만 4759건에서 1만 8688건으로 3929건이 늘었다.

더불어 코로나19 고용위기에 청년들이 다수 종사하는 제조업, 숙박·음식점 등을 중심으로 실업급여 지급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실업급여 지급액이 가장 큰 비중(15%)을 차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억 3000여만 원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대비 9억 5400여만 원 증가해 업종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을 보였다.

최근 회사를 그만둔 박 모(36)씨는 "상반기부터 회사가 어려워 휴가를 번갈아 쓰고 휴직자도 받았다"며 "어차피 오래 다니기 힘들 거 같아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희망퇴직으로 일을 그만뒀다"고 설명했다.

실업급여 신청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구직활동을 이유로 단기 일자리, 중소기업을 전전하며 실업급여만 타 먹는 구직자들도 양산되고 있다.

대전 서구 둔산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 모(54) 씨는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며 "실업급여 수급요건인 180 일만 채우고 직장을 옮겨 다니는 일도 있고 구직활동 증빙용으로 이력서만 올리고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고 말했다.

실업급여는 실직 전 6개월(주휴일 포함 180일)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계약해지 등 원하지 않는 실직을 했을 경우 최소 4개월(120일)간 하루 6만120원이 지급된다. 일각에서는 굳이 일하기보다 해고 통보를 받아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게 낫다고 얘기한다.

대전소상공인포럼협의회 관계자는 "실업급여는 근로자와 회사에서 받아놓은 고용보험기금을 활용해 실직자의 최소한 생계를 보장하고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사회안전망"이라며 "반복적인 실업급여 수급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영세 중소기업의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태안 해루질 중 실종된 여성 숨진채 발견…천안 미용실서 화재
  4. 전 세계 셰프들이 선보인 '한식' 경연...최종 우승자는
  5. 대전교도소, 사회복지시설 방문해 사회온정 나눠
  1. 대전 대덕구서 면허 없이 훔친 오토바이 몰던 고등학생 3명 붙잡혀
  2. 문화유산회복재단, 교실에서 또는 환수박물관에서 '실감교육 확대'
  3. EU, 철강관세 50% 인상…韓, 철강 수출 위기감 고조
  4. [프리즘] 겉보기 사회, 배터리화재에, 속도 탄다
  5. '온세종학교' 디지털 시대 맞춤형 교육 혁신 선도

헤드라인 뉴스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방문객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그 흔한 집객 시설 자체조차 없는 세종시. '역외 소비와 공실률 최상위 도시', '자영업자의 무덤', '핵노잼 도시'란 수식어는 이제 등호(=)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수는 4년째 39만 벽에 갇히고 있고, 2030년 '신도시 50만, 읍면 30만' 목표는 10년 이상 뒤로 미뤄진 지 오래다. 대전과 청주, 공주 등의 주요 도시들과 같은 인프라를 단시일 내 구축하기란 불가능한 현실이자 희망고문에 가깝다. 단적인 예로 2021년 대전 신세계 백화점, 2024년 청주 커넥트 더 현대 오픈으로 세종시의 첫 백..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